## 자바스크립트 코드 스타일 가이드는 여러개가 존재하지만 Airbnb Style Guide를 바탕으로 작성 ## 1. 세미콜론 자바스크립트는 문장의 끝에 세미콜론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함 세미콜론이 없으면 ASI에 의해 자동으로 세미콜론이 삽입(Automatic Semicolon Insertion, 자동 세미콜론 삽입 규칙) 요즘엔 ASI도 성능이 좋아서 안써도 문제되는 일은 크게 없다고는함 이걸 써야하냐, 말아야하냐로 아직도 싸운다고함 console.log('hello'); console.log('javascript') 2. 들여쓰기와 코드 블럭 python은 4칸 들여쓰기를 썼지만, 자바스크립트는 2칸 들여쓰기를 사용 블럭(block)은 if, for, 함수 등에서 중괄호 {}내부를 말함 pytho..
1. little O notation 두 함수 f(x)와 g(x)가 어떤 a에 대하여 |f(x)|≤εg(x) 를 만족하는 모든 양의 상수 ε 이 0<|x−a|<δ에서 존재하게 하는 δ가 존재한다면, f(x)=o(g(x)) x →a 라고 표현한다. 동일한 말로 g(x)가 0이 아닐때, f(x)=o(g(x)) x →a 는 limx→af(x)g(x)=0과 동치이다. 근데 일단 이거는 그냥 극한으로 이해하는게 편한것 같다 2. 직관적인 이해 $$\displaystyle \lim_{ x ..
1. 52개의 카드를 이용해서 만들 수 있는 5개 카드 조합 중 같은 무늬의 카드가 정확히 3개인 경우의 수 52개의 카드에는 4가지 무늬가 존재하는데, 그러한 4가지 무늬중 같은 무늬로 만들 3개의 카드를 구성하기 위한 무늬를 고르는 경우의 수는.. (41) 선택한 무늬에서 3개의 카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13가지 중에서 3장을 뽑아야하므로 (133) 나머지 2장은 다른 무늬의 카드에서 골라야한다. 남은 3가지 무늬 중에서 2가지를 뽑는 방법의 수는(32)이고, 각각의 무늬에서 1장씩 뽑아야 정확히 3장만 같은 무늬를 가진다. (131)(131) 따라서, $\binom{4}{1}\binom{13}{3}\bino..
1. 진리표를 이용해서 항진명제임을 증명 (~p∨q)∨(p∧~q) 진리표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p,q의 모든 경우에 True이므로 (~p∨q)∨(p∧~q)은 항진명제이다. 2. 진리표를 이용해 모순명제임을 증명 (p∧q)∧(p∧~q) p,q의 모든 경우에 False이므로 (p∧q)∧(p∧~q)은 모순명제이다. 3. 다음 명제의 쌍들이 논리적으로 동등한지 진리표를 이용해 확인 ~p∨~q와 ~(p∨q) p,q의 어떤 경우에 대하여 위 그림과 같이 진리값이 서로 다르므로 ~p∨~q와 ~(p∨q)는 논리적으로 동등하지 않다 4. 명제식의 변형으로 다음 명제를 간소화 (p∨~q)∧(~p∨~q) 분배법칙으로부터 ~q를 이용해 묶으면 (p∨~q)∧(~p∨~q) = (p∧~p) ∨ (~q) 그런데 (p∧~p)는 p가..
1. css 원칙 2 "모든 요소는 네모(박스모델)이고 좌측 상단부터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 "display에 따라 크기와 배치가 달라진다" 박스로 쌓이는 태그들을 display 설정에 따라 배치해나간다 2. block display:block 줄 바꿈이 일어나는 요소 말 그대로 블록처럼 위에서 아래로 쌓인다 화면 크기 전체의 가로 폭을 차지 그러니까 다음 블록을 쌓으면 다음 줄에 쌓인다 물론 width로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여러 block이 한줄에 쌓이는 것은 아니다 width만큼 내용물을 채우고 그만큼 우측에 margin을 자동으로 채우나봐 블록 요소 안에는, 인라인 요소가 들어갈 수 있다 대표적인 블록 요소는 div, ul,ol,li, p, hr, form 3..
1. css의 대원칙 'css의 모든 요소는 박스다' 모든 요소는 네모(박스모델)이고 위에서부터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쌓인다 원으로 생긴것도 자세히보면 박스안에 들어가있고 2. normal flow 기본적으로 inline 요소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아가고 block요소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쌓인다 3. box model 모든 html 요소는 box 형태로 되어있다 하나의 box는 네 부분으로 나뉜다. margin, border, padding, content padding과 margin을 구별을 잘 해야하는데 테두리 border를 중심으로 안쪽에 내용물과 테두리 사이 공백이 padding이고 테두리와 바깥 다른 요소 사이 공백이 margin이다 기본적인 요소를 먼저 생성하고 top에 24px; 만..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