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osition 속성 static, relative, absolute, fixed, sticky 모든것이 box로 되어있는 html 태그들은 기본적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쌓이는데, 필요에 따라 다르게 배치하고 싶을 때가 있다 기본값은 왼쪽이지만 오른쪽처럼 만들고 싶다면..? 2. relative 자기 자신의 static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함 원래 나 자신이 있어야할 위치에서, top, left, right, bottom의 몇 pixel만큼 위치를 옮기는 것 레이아웃에서 여전히 static에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람 눈에만 이동한 것처럼 보인다 3. absolute 브라우저 화면 기준으로 위치를 이동시킴 화면에서 공중에 뜬 것처럼 일반적인 flow를 벗어남 일반적인 normal flow에서 제..
1. overflow 기능 overflow는 부모요소와 자식요소 사이 관계에서 부모요소가 자식요소를 어느정도 보이게 만들지 결정하는 기능 기본값은 overflow: visible;인데 위와 같이 자식요소(좌,우측상단 파란색박스)가 부모요소(상단 검정색 박스)를 넘어가더라도 내용을 전부 보여준다 overflow: hidden;을 주면 아래와 같이 자식요소에서 넘어가는 부분을 숨겨준다 overflow: auto;와 overflow: scroll;은 hidden에서 숨겨진 부분을 보고싶을때 스크롤 기능을 제공한다 overflow: auto;는 자식요소가 넘어가지 않는다면 visible처럼 전부 보여주는데, 자식요소가 넘어간다면 hidden처럼 숨기고 스크롤바를 제공한다 overflow: scroll;은 자식요..
1. set 중복되는 요소가 없이, 순서에 상관없는 데이터들의 묶음 중복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중복되는 원소가 있다면 하나만 저장함 순서가 없으므로 인덱스를 이용한 접근이 불가능하다 수학에서 집합을 표현한 자료형 >> 집합연산이 가능한데, 여집합을 나타내는 연산자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아 >> 중복된 값이 존재하지 않아 담고 있는 요소를 삽입, 변경, 삭제가 가능함 >> 가변 자료형(mutable) 2. set의 메소드 리스트에서 append()를 쓰는것과는 다르게 set은 add로 추가한다는 점에서 add가 제일 중요하고.. 나머지도 알아보자고 set은 순서가 없는 자료형이기 때문에 s.pop()을 하면 랜덤하게 항목을 제거해서 반환한다고함 비슷하게 add()도 랜덤한 위치에 넣는다고 하는데 3. s.ad..
1. 딕셔너리(dictionary) key,value 쌍으로 이루어진 자료형 key는 변경불가능한 데이터인 string, integer, float, boolean, tuple, range 등 만 가능 key로 리스트는 불가능하고 튜플은 가능 그러니까 key는 직접적으로 이름 변경이 불가능하고 삭제하고 새로 만들든지 간접적으로 변경 가능 key의 value는 어떠한 형태든 가능하다 3.7부터는 key의 입력 순서를 보존해줌 이를 이용하면 key를 정렬할 수도 있음 근데 주피터노트북에서 print말고 그냥 출력하면 순서가 항상 정렬된것처럼 보이네 2. 딕셔너리의 여러가지 메소드 자주 사용하는 것은 역시 d.keys(), d.values(), d.items() 가끔 사용하는 것은 d.get(k,v) 여기서 ..
1. 다형성(polymorphism) 여러 모양을 뜻하는 그리스어 동일한 메소드가 클래스에 따라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클래스에 속해있는 객체들이 동일한 메시지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응답가능 부모에 talk()가 있고 자식에 talk()가 있을때, talk()를 사용하면, 어떤 talk()를 사용하게 되는가? 자식에서 talk()를 먼저 찾아봐서 있으면 자식의 talk()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부모에서 talk()를 찾아 부모 talk()를 쓰게 되는 2. method overriding(덮어쓰기) 클래스를 상속할 때, 부모 클래스에서 정의한 메소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하는 것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 이름과 기본 기능은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특정 기능을 재정의해서 바꾸고 싶을 때 예시) Pe..
1. 객체지향의 핵심개념 추상화, 상속, 다형성, 캡슐화 2. 추상화 함수, 변수, 클래스 blackbox같은 내부의 복잡한 원리는 잘 몰라도 필요한 것만 드러내고 쓰는것 User.login()하면 로그인.. 로그인을 어떻게 하는건데?? 그건 좀 복잡하지만 아무튼 로그인 잘하면 그만 User.logout()하면 로그아웃.. 로그아웃을 어떻게 하는건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로그아웃이 잘 되면 그만 세상에 다양한 사람이 있지만 필요에 따라 Professor와 Student 두 그룹으로 나누는 것 그러면 professor나 student라고 하는 나만의 정의, 모음집이 생겨?? 이렇게 복잡하게 정의된 student, professor 코드에서 그냥 student.talk()하면 어떻게 말을 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