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23888번: 등차수열과 쿼리 (acmicpc.net) 23888번: 등차수열과 쿼리 등차수열은 연속하는 두 항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뜻한다. 연속한 두 항 중 뒷항에서 앞항을 뺀 값을 공차라고 한다. 초항이 a이고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이 주어진다. 수열의 i번째 원소를 www.acmicpc.net 2. 풀이 L번째 항부터 R번째 항까지의 합과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문제 등차수열의 합은 초항이 a1이고 항 수가 n개이며 공차가 d일때.. n(a1+an)2 등차수열의 일반항은 a + (n-1)d이다. 그러면 L번째 항부터 R번째 항까지의 합은.. 초항이 a + (L-1)d이고 끝 항은 a + (R-1)d이며.. 항 수는 R-L+1개이니까...
1. 문제 16480번: 외심과 내심은 사랑입니다 (acmicpc.net) 16480번: 외심과 내심은 사랑입니다 수진이는 외심과 내심 없이는 살 수 없다고 말할 정도로 외심과 내심을 사랑한다. 하지만, 갑자기 수진에게 어려운 일이 닥쳤다. 바로 평면에 있는 삼각형 ABC에서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R이고, www.acmicpc.net 2. 오일러의 삼각형 정리(Euler's triangle theorem) 삼각형의 외접원, 내접원, 방접원의 반지름이 각각 R, r, r'이라고 할때, 삼각형에서 외심과 내심 사이의 직선거리는 √R2−2Rr 외심과 방심사이 직선거리는 √R2+2Rr′ 근데 증명이 조금 까다롭던데 이걸 증명을 해봐야하는거냐 말아야하는거냐 외..
1. 문제 1520번: 내리막 길 (acmicpc.net) 1520번: 내리막 길 여행을 떠난 세준이는 지도를 하나 구하였다. 이 지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며 여러 칸으로 나뉘어져 있다. 한 칸은 한 지점을 나타내는데 각 칸에는 그 지점의 높이가 쓰여 있으 www.acmicpc.net 2. 풀이 이 문제에서 핵심은 "어떤 칸을 최초 방문할 때 해당 칸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우의 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해 놓고, 다음 방문 시 기록된 값을 참조해서 반복된 연산을 피하는 것이다" dp[y][x]를 (x,y)에서 (n-1,m-1)까지 조건에 맞는, 도달하는 경우의 수라고 정의하자. m,n = map(int,stdin.readline().split()) maps = [list(map(in..
1. 문제 16168번: 퍼레이드 (acmicpc.net) 16168번: 퍼레이드 첫 번째 줄에 지점의 개수 V, 연결 구간의 개수 E가 주어진다. (1 ≤ V ≤ E ≤ 3000) 이후 E개의 줄에 걸쳐 각 연결 구간이 연결하는 두 지점의 번호 Va, Vb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Va, www.acmicpc.net 2. 오일러 경로(eulerian trail) "모든 변을 단 한번만 지나서 주어진 그래프를 완성할 수 있는가" 그래프의 모든 간선을 1번만 지나서 모든 정점을 방문하는 연속된 경로를 오일러 경로라고 부른다 혹은 한붓그리기라고도 불린다. 위와 같이 정점은 여러번 지나도 상관없다 위와 같은 그래프는 오일러 경로가 존재하는 그래프이다. 특히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오일러 경로는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