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ambda 함수 이름 없이 함수처럼 쓰는 익명함수 lambda (parameter) : (return) (condition) 구조 return 값은 보통 한줄정도로 짧게 사용을 권장하지는 않으나 여전히 사람들이 많이 씀 왜 권장하지 않느냐? 테스트 하기 어려움, 이해하기 어려움, 함수의 docstring도 불가능 2. map 시퀀스형 데이터 각 요소에 특정한 함수를 적용시켜주는 함수 여러개의 파라미터를 갖는 함수라면 여러개의 리스트를 받을 수 있음 a = [1,2,3,4,5] f = lambda x:x**2 list(map(f,a)) [1,4,9,16,25] f = lambda x,y : x+y list(map(f,a,a)) [2,4,6,8,10] 이해하기 어려워 사용을 권장하지는 않는다 f = ..
1. directed graph link에 방향성이 없고 두 node가 대등한 관계를 가질 수 있는 경우 undirected graph link에 방향성이 있어서 두 node의 주체와 대상의 관계가 확실하고 의미있는 경우 directed graph 페이스북 친구는 서로 친구가 되어있어야 가능하므로 대등한 관계를 가져서 방향이 없는 그래프 인용 그래프의 경우 논문을 누가 인용했는지, 인용의 대상이 무엇인지 분명하므로 방향성이 있는 그래프 트위터 팔로우 그래프는 내가 태연을 트위터 팔로우 하더라도 태연은 나를 팔로우 하지 않잖아 두 node사이에서 양쪽 방향으로 관계를 맺을 수도 있다. 물론 오른쪽 표기를 굳이 쓰진 않는다 사실 어느정도 주관적인 개념이다. 왜냐하면 주체와 대상의 관계가 있음에도 큰 의미가 ..
그래프에서 최단경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 특정 하나의 node에서 다른 모든 node로 가는 최단 경로를 알려줌 link의 가중치가 음수인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하나의 최단 거리를 그 이전까지 구했던 최단 거리 정보를 사용하여 구함 --------------------------------------------------------------------------------------------------------------------- 1. 출발노드를 설정 2. 출발 노드를 기준으로 각 노드의 최소 비용을 저장 3.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가장 비용이 적은 노드를 선택 4. 해당 노드를 거쳐서 특정한 노드로 가는 경우를 고려하여 최소 비용을 갱신 5. 위에서 3.과 4.번을 반복 ----------..
1. 혼동행렬 완성 ⓐ예측을 기준으로 예측의 P, N을 그대로 쓴 다음에 ⓑ예측 = 실제이면 T를 붙이고 예측 != 실제이면 F를 붙인다 2. 민감도 특이도 정밀도 재현율 실제를 기준으로 묶어서 민감도와 특이도 민감도 = 재현율 대칭방향으로 정밀도 민감도 = TPTP+FN = 재현율 특이도 = TNFP+TN 정밀도 = TPTP+FP 3. F1 score 재현율과 정밀도의 조화평균 조화평균이란? 역수의 산술평균의 역수 F1=11재현율+1정밀도2=2×재현율×정밀도재현율+정밀도 4. TPR, FPR??? 1에서 그린 혼동핼렬 표를..
1. 직사각형에 자연수를 순서대로 집어넣기 rows * columns 직사각형에 1,2,3,...을 순서대로 집어넣을려면 matrix = [ [row * columns + (column+1) for column in range(columns)] for row in range(rows)] rows = 4 columns = 3 matrix = [[row*columns + (columns+1) for column in range(columns)] for row in range(rows)] print(matrix) [[1,2,3],[4,5,6],[7,8,9],[10,11,12]] 2. 직사각형 배열에서 열을 뽑는 방법 j+1열을 뽑고 싶으면 [row[j] for row in matrix] j = 2 [row[j..
1. argument 1-1) keyword argument 함수에 parameter의 이름을 입력하여 값을 넘기는 방식 def f(x,y): return x+y f(1,2) 3 f(x=1,y=2) ###keyword argument 3 1-2) default argument 함수의 paramter의 기본값을 지정해놓은 방식 default가 없는 인자는 디폴트 인자 앞에 와야함 def f(x,y,z=4): return x+y*z f(1,2) 9 z에 값이 들어가지 않고 z=4인 기본값을 넣고 y=2를 넣은 것이라고 인식을 함 f(1,2,5) 11 z에 기본값인 z=4를 넣지 않고 z=5라고 사용자가 직접 지정을 해서 넣어줌 2. asterisk 2-1) variable-length 함수 정의에서 인자에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