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AI 학습할 때 모델을 학습시켜보고 평가하며 안되면 다시 고쳐서 학습시켜보는 과정을 반복함. 그러나 이게 전부일까? 1. 고객 중심 VS. 개발자 중심 조금만 생각해봐도 완벽하게 훈련시키고 평가한 모델을 고객에게 줘봤자 ‘고객이 원하는 것’이 아니라면 좋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것 어느 것이 더 좋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 아니고 여러 관점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객 중심으로 고객이 원하는 것만 만든다고 잘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고 반대로 잘 만들다보면 고객이 원할수도 있는거고 2. 인공신경망의 학습과정은 완벽하게 추상화할 수 없다 보통 생각하기에 AI는 인공신경망에 input을 주면 output이 바로 나오는 인상을 주기 쉬운데 사실 그렇지 않다 심지어 input을 ..
1. 저작자와 협의 저작권자를 아는 경우 그 사람과 이용 방식에 대해 직접 협의 저작물 이용을 독점적으로 허락받거나 비독점적으로 허락받을 수 있다. 독점적으로 허락받는 것은 오직 나에게만 허락해준다는 것 비독점적으로 허락받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도 이용을 허락해줄 수 있는 것 저작권은 전부 혹은 일부를 심지어 일정기간 정하여 양도할 수도 있다. 그래서 저작권을 저작자로부터 양수받아 사용하기도 한다. 2. 라이센스 저작자를 찾아가 일일이 계약을 맺는 것은 비효율적이니 저작자가 제안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이용이 가능하도록 만든 규약 대표적으로 Creative Commons에서 만든 Creative Commons License 1) BY CC-BY는 저작자를 표시하면 영리 목적의 이용부터 자유로운 2차..
1. 왜 알아야할까? 교육으로 주어지는 데이터들은 저작권이 기본적으로 해결되어있어서 크게 생각 안해왔지만 사회는 다르다 대부분 문제를 풀기 위한 적절한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아 스스로 모아야함 저작권을 고려하지 않으면 반쪽짜리 데이터가 됨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데이터로 학습한 모델도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그냥 데이터를 막 모으면 개인적인 연구 목적으로는 가능하겠지만 공개하여 연구성과로는 인정받기 어렵다 학계에서도 라이센스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 추세이다. 2. 저작권법의 현 상황 저작권법 당시 AI가 주목받고 있지는 않아 아직 AI 모델을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현재 AI 모델에 대해서도 고려중이다. 3. 용어 1) 저작권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한 결과물에 대하여 창작자에게..
1. 처리시간 하나의 입력이 처리되어 출력이 나올때까지 걸리는 시간 수식인식기의 경우 offline test는 ‘이미지 입력 후 수식 영역 정보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 online test는 ‘이미지 촬영 후 이미지에서 수식 영역 정보가 화면 상에 표현되기까지의 시간’ 무슨 차이지? 무슨 차이인지 생각한다는게 좀 그런가? online tests는 사용자 체감 시간이 중요하다는 뜻인것 같다 시간차이의 경우에도 앱으로 사진을 포팅할때 offline과 online의 시간차이도 분명 있는 것 같다 2. 목표 정확도 해당 기술 모듈의 정량적인 정확도 신용카드 인식의 경우 offline test는 입력된 이미지 내 카드번호와 실제 정답의 distance online test는 사용자가 AI 모델에 인식하였을 때..
그냥 channel이 1이면 gray image이고 channel이 3이면 color image다 라고 생각해왔는데... 파이썬으로 gray image를 불렀을때 channel이 3인데 gray로 나오는 것 보고 갑자기 궁금증이 생겼다 핵심은 image의 channel이 3이면 각각 R,G,B pixel의 value값을 나타내는데, 이들이 합쳐져서 color image가 나온다. 그런데 R,G,B pixel의 value가 모두 동일하면 gray image가 나온다 먼저 color image를 보면 Image.open으로 열어서 torchvision.transforms.ToTensor()로 tensor로 바꾸면 from PIL import Image from torchvision import dataset..
!wget (url) 하면 해당 url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tar.gz 형태로 압축이 되어있는데, gz 형태의 압축은 !gunzip으로 압축해제가능 !gunzip (파일명) 하면 해당 파일의 gz압축을 푼다 원래 notMNIST_large.tar.gz가 notMNIST_larget.tar로 바뀜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48690/whats-the-difference-between-gunzip-and-unzip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gunzip and unzip?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gunzip and unzip? Tried to search but couldn't find anyt..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