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4. 6. 15. 00:33

gaussian elimination을 이용한 연립방정식의 해법

1. 3원 1차 연립방정식 미지수가 3개이고 각 미지수에 대해 차수가 모두 1차 방정식으로 이루어진 연립방정식은 3*3 matrix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만약 행렬 A의 역행렬이 존재한다면 유일한 해 $x = A^{-1}b$를 이용해 구할 수 있다.  2. gaussian elimination 주어진 행렬의 rank를 구하는 방법 기본 행연산(elementary row operation)을 이용하여 주어진 행렬을 row echelon form으로 변환시키면 rank를 구할 수 있다 row echelon form이란  elementary operation을 통해서 1) 모든 원소가 0인 행(열)은 전부 밑에 존재 하고  2) 0이 아닌 원소가 있는 행(열)의 경우 가장 왼쪽에 있는 원소가 바로 위..

2024. 3. 1. 02:06

라그랑주 승수법 간단하게

라그랑주 승수법은 제약조건이 있을 때 함수를 최대화, 최소화시키는 방법이다 최적화시키고자하는 함수 f(x,y)와 제약조건은 보통 g(x,y) = c 형태로 주어진다. 변하는 값은 함수 f(x,y)인데 이것을 변화시키다가 g(x,y) = c와 서로 접할때 함수 f가 최대가 되는 경우가 가장 쉬운 경우 https://deepdata.tistory.com/1115 gradient descent를 위한 gradient vector의 이론적 설명 간단하게 1. 방향도함수(directional derivate) 이변수함수 z = f(x,y)와 임의의 단위벡터(norm이 1인 벡터) u = (a,b)에 대하여... 벡터 u를 지나는 평면으로 z = f(x,y)를 잘랐을때 생기는 곡선 위 (x0,y0,z0)위에서의 접..

2022. 1. 17. 00:53

무어-펜로즈 역행렬(Moore–Penrose pseudoinverse matrix)

1. 무어펜로즈 역행렬(Moore–Penrose pseudoinverse matrix)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안으로 무어-펜로즈 역행렬을 생각할 수 있다. 행의 수와 열의 수에 따라 구하는 방식이 다르다 역행렬처럼 되돌리는 연산이 가능하다 np.linalg.pinv()는 무어 펜로즈 역행렬을 구해준다 2. 연립방정식의 해법 연립방정식은 행렬의 선형변환을 이용해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연립방정식은 일반적으로 식의 수와 변수의 수가 동일할 때 정확히 하나의 해를 갖지만 식의 수가 변수의 수보다 적거나 같으면 해가 무수히 많을 수 있다. 2-1) 무어펜로즈 역행렬을 이용한 해법 해가 무수히 많은 경우 무어 펜로즈 역행렬을 이용하여 무수히 많은 해 중 하나의 해를 구할 수 있다 2-2) 선형회귀분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