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실함수를 가중치나 절편에 대해 최소화시키는 방법 L이 loss이고 W는 가중치 b는 절편 손실함수를 가중치나 절편에 대해 최소화시키는 방법 그런데 미분값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최상층에서 최하층으로, 역으로 미분 계산이 진행된다해서 Backpropagation이라 부른다. 합성함수 미분법에 의한 연쇄법칙이 기반 예제) 2층신경망의 역전파 알고리즘 방법은? 비슷한 방식으로 도 구할 수 있다. 확률적 경사하강법 등을 이용하여 손실함수 L을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가중치 W와 절편 b을 계속 갱신해나감
1. computer vision을 어떻게 구현할까 앞에서 설명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computer vision을 구현하는 것은 machine visual perception을 구현하는 것 그 입력으로 실제 세상의 한 모습인 이미지나 비디오같은 visual data를 주는 것이다. visual perception의 종류는? 색깔 인지, 움직임 인지, 사회적 감각 인지 등등 많다 사람의 시각능력을 biological하게 이해하고 이것을 어떤 식으로 구현할지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것도 포함한다 2. 우리의 시각능력은 사실 불완전하다 우리 시각은 단순히 시력이 나쁜 것 말고도 평소에 느끼기 어려운 치명적인 불완전성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거꾸로 선 사람을 보면 못생겨보여도 큰 위화감이 안든다 근데 똑바로 세우..
1. natural language problem 컴퓨터가 주어진 인간의 단어나 문장을 이해하는 understanding과 적절한 자연어를 생성하는 generation으로 나뉜다. 컴퓨터 비전(CV) 분야와 더불어 딥러닝의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이 가장 활발하게 적용된 분야중 하나 현재까지 주어진 단어나 문장, 문단을 보고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language modeling 주어진 문장을 이해하여 적절한 번역문을 차례대로 생성하는 machine translation 주어진 지문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질문에 적절한 대답을 제시하는 question answering 다양한 카테고리의 여러 문서를 적절한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document classification 인간의 물음을 이해하고 적절한 대답을 생성하..
1. 그래프(graph) 정점(vertex) 집합과 간선(link) 집합으로 이루어진 수학적 구조 네트워크(network)라고도 부른다. 정점은 node라고도하고 간선(link)은 edge라고도 한다. 두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이 간선(link) 정점 쌍이 반드시 간선으로 직접 연결될 필요는 없다. 1,2,3,4,5,6 숫자 점이 정점(node) 각 node가 연결되는 선들이 간선(link) 이들의 모임이 그래프(graph), 네트워크(network) 특히 3번과 6번은 직접 연결되어있지 않다 2. 그래프의 중요성 2-1) 복잡계(complex system) A complex system is a system composed of many components which may interact with e..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