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3. 6. 17. 02:07

1장의 그림으로 아주 간단하게 이해하는 nginx

nginx가 뭔지 몰랐는데 친구가 한장의 그림으로 아주 간단하게 설명해줘서 원래 웹이 fastapi, backend frontend로 구성되어 있을때, 사용자가 특정 요청을 보내면 해당 요청으로부터 nginx가 어디로 보내야할지 판단해서 요청을 보내주는 역할 어떤 요청이 어디로 가야할지는 nginx를 설정하는 사람이 설정해놓는다 다음과 같이 https://ae-book.com/fast/...으로 로 들어오는 요청은 앞에 /fast를 보고 fastapi로 보내면 되겠구나 생각하고 nginx가 알아서 보내준다 nginx 필요없이 fastapi는 /fast로 하고 backend는 /back으로 하고.. 등등 일일이 알아서 처리하면 되는거 아니냐 해서 처음에 nginx 안쓰고 그랬는데(나는 그냥 이해를 못했어서..

2022. 8. 7. 18:59

inline 요소와 block 요소 완전 정복

1. css 원칙 2 "모든 요소는 네모(박스모델)이고 좌측 상단부터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 "display에 따라 크기와 배치가 달라진다" 박스로 쌓이는 태그들을 display 설정에 따라 배치해나간다 2. block display:block 줄 바꿈이 일어나는 요소 말 그대로 블록처럼 위에서 아래로 쌓인다 화면 크기 전체의 가로 폭을 차지 그러니까 다음 블록을 쌓으면 다음 줄에 쌓인다 물론 width로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여러 block이 한줄에 쌓이는 것은 아니다 width만큼 내용물을 채우고 그만큼 우측에 margin을 자동으로 채우나봐 블록 요소 안에는, 인라인 요소가 들어갈 수 있다 대표적인 블록 요소는 div, ul,ol,li, p, hr, form 3..

2022. 8. 7. 16:33

css box model 정복하기

1. css의 대원칙 'css의 모든 요소는 박스다' 모든 요소는 네모(박스모델)이고 위에서부터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쌓인다 원으로 생긴것도 자세히보면 박스안에 들어가있고 2. normal flow 기본적으로 inline 요소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아가고 block요소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쌓인다 3. box model 모든 html 요소는 box 형태로 되어있다 하나의 box는 네 부분으로 나뉜다. margin, border, padding, content padding과 margin을 구별을 잘 해야하는데 테두리 border를 중심으로 안쪽에 내용물과 테두리 사이 공백이 padding이고 테두리와 바깥 다른 요소 사이 공백이 margin이다 기본적인 요소를 먼저 생성하고 top에 24px; 만..

2022. 8. 7. 05:25

css position 정복하기

1. position 속성 static, relative, absolute, fixed, sticky 모든것이 box로 되어있는 html 태그들은 기본적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쌓이는데, 필요에 따라 다르게 배치하고 싶을 때가 있다 기본값은 왼쪽이지만 오른쪽처럼 만들고 싶다면..? 2. relative 자기 자신의 static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함 원래 나 자신이 있어야할 위치에서, top, left, right, bottom의 몇 pixel만큼 위치를 옮기는 것 레이아웃에서 여전히 static에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람 눈에만 이동한 것처럼 보인다 3. absolute 브라우저 화면 기준으로 위치를 이동시킴 화면에서 공중에 뜬 것처럼 일반적인 flow를 벗어남 일반적인 normal flow에서 제..

2022. 2. 14. 21:09

프로그래밍을 한다면 꼭 알아야하는 파일형식 csv, html, xml, json

1. csv 데이터를 쉼표로 구분한 텍스트 파일 구분자는 탭(tab separated value), 빈칸(single separated value), 쉼표(comma separated value) 등이 있는데 이들을 모두 통칭하여 csv(character separated value)라고 부르기도 한다 엑셀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할 때 csv로 저장할 수 있다 open으로 csv파일 읽어오고 readline()으로 한줄씩 읽어오며 처리 맨 윗줄(0번째 줄)은 보통 header로 변수명임 ‘w’모드로 csv파일을 만들어 write함수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음 위와 같이 미국정보만 얻어 w모드로 연 다음에 write함수로 파일에 저장시키면 이렇게 저장 가능 ,가 구분자이다보니 “,” 이것이 실제로 구분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