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2. 6. 2. 00:46

확률분포&연속형분포의 이산화&조건부분포&기댓값으로 구하는 통계량

1. 확률분포 $x \times y$라는 데이터 공간에서 D는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하나의 확률분포이다. 이로부터 얻어낸 데이터는 하나의 확률변수로 $(x,y) \sim D$이다. 확률분포에 따라 데이터의 이산형, 연속형이 결정된다. 데이터 상태가 실수이냐 정수이냐랑은 크게 무관하다. 확률분포는 이론적으로 존재하며 단순히 데이터만 보고는 무슨 확률분포를 따르는지는 알 수 없다. -------------------------------------- 확률질량함수는 이산형확률변수의 확률함수로 그 값 자체가 확률이다. 확률변수가 공간 A에서 가질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한 확률의 합으로 구해진다. ------------------------------------- 확률밀도함수는 연속형확률변수의 확률함수지만..

2021. 12. 6. 21:19

누적확률분포함수(cumulative probability distribution)에 대하여

확률변수 X의 누적확률분포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라는 것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P(X \leq x)$$으로 정의되는 함수를 말합니다. 누적확률분포함수는 모든 확률변수에 대해 정의할 수 있으며 $$F(x)=P(X \leq x)$$로 하나의 확률이니까 어떠한 실수 x를 넣더라도 0과 1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그리고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확률을 누적해서 더한다는 의미를 가져서 증가함수(increasing function)입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normal distribution이나 uniform distribution이나 binomial distribution 같은 여러 분포들은 유일한 누적확률분포함수를 갖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누적확률분..

2021. 11. 18. 21:30

확률(probability)과 가능도(likelihood)는 어떻게 다를까?

1. 통계학에서 말하는 확률이란? 다음과 같은 3가지 공리(axiom)를 만족하는 것을 공리적 확률(probability)이라고 한다. 확률이 가져야한다고 생각하는 가장 기본적인 3가지 성질로 증명없이 받아들인다. 1) 임의의 사건 $A \subset \Omega$에 대하여 $P(A) \geq 0$ 2) 가능한 전체 경우의 수를 포함하는 집합 $\Omega$에 대하여 $P(\Omega)=1$ 3) 배반사건열 $A _{1},A _{2},A _{3},...$에 대하여 $P( \bigcup A _{i} )= \sum _{i=1} ^{\infty } P(A _{i} )$ 쉽게 말해 결국 확률은 사건 $A$를 $0 \leq P(A) \leq 1$을 만족시키는 실수집합으로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2.확률밀도함수와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