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11690번: LCM(1, 2, ..., n) (acmicpc.net) 11690번: LCM(1, 2, ..., n)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자연수의 최소공배수를 출력한다. 정답이 매우 커질 수 있기 때문에, 232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2. 풀이 두 수 a,b의 최소공배수를 어떻게 구하는지 생각해본다면.. a랑 b를 소인수분해하고... 각각 소인수분해에서.. 소인수의 지수가 큰것끼리 곱하면 그것이 a,b의 최소공배수이다. 예를 들어 18과 24의 최소공배수를 구한다면.. 18=2∗32 24=23∗3 여기서 소인수는 2와 3만 나타나는데.. 각각에서 지수가 큰 경우는 23이랑 $..
1.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기본형태 n이하의 소수를 구하는 알고리즘 n+1개의 1을 가지는 리스트로 초기화하고, 2부터 n의 제곱근까지 순회하여 해당 수의 배수를 모두 지우고 나면 소수만 남는다는 알고리즘이다 n = int(input()) result = [1]*(n+1) for i in range(2,int((n+1)**(1/2))+1): if result[i] == 1: for j in range(i*i,n+1,i): result[j] = 0 prime_list = [i for i in range(2,n+1) if result[i] == 1] 여기서 j의 시작 지점을 i+i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i*i로 해도 된다. 왜냐하면, i+i는 결국 가장 먼저 2의 배수에서 지워지기 때문이다. 2. 에라토스테..
나머지를 구할때 %로 구하면 되는데.. 효율적으로 구한다는게 도대체 무슨말인가? %연산은 계산 비용이 높아서 비효율적으로 알려져있다. n = 98 print(n % 2) #0 print(n % 4) #2 print(n % 8) #2 print(n % 16) #2 print(n % 32) #2 계산비용을 줄이고 싶다면 %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고 나머지를 구해야한다. 예를 들어 4로 나눈 나머지를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컴퓨터는 모든 수를 2진수로 인식하기 때문에.. 가장 쉬운 접근은 정수 n을 2진수로 나타내보는 것이다. 위 그림을 보면 어떤 수를 4로 나눈 나머지는 0,1,2,3중 하나인데... n을 2진수로 나타냈을때 4로 나눈 나머지는... n의 2진수 표현에서 오른쪽 끝의 2비트만 가져오는 것임을..
1. 문제 25166번: 배고픈 아리의 샌드위치 구매하기 (acmicpc.net) 25166번: 배고픈 아리의 샌드위치 구매하기 "두리"라는 나라가 있다. 이 나라에서 사용되는 동전은 1원, 2원, 4원, 8원, 16원, 32원, 64원, 128원, 256원, 512원짜리 이렇게 총 10가지이다. 이 나라의 국민인 아리는 10가지의 동전을 각각 1개씩 총 10 www.acmicpc.net 1,2,4,8,16,32,64,128,256,512원짜리 동전만 사용가능할때, 이들을 하나씩 가지고 있는데, 친구에게 돈을 빌려서라도 샌드위치 가격만큼 내줄 수 있는지 아닌지 알아보는 문제 2. 풀이 브론즈1인데.. 어렵다.. 비트마스킹 이론 공부 했는데 뭔가 응용하기가 어렵다고 해야하나..? 연습좀 많이 해봐야겠지 이..
1. 비트(bit) 정보를 구분하는 최소 단위로 이진 숫자(binary)를 뜻한다 0,1의 값을 가지며 True/False나 on/off같은 2가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10진수를 2진수로 바꾸면 해당 10진수에 대응하는 하나의 비트열을 얻는다 2. 비트연산 - 비트연산은 비트열의 같은 위치끼리만 연산함 2-1) &(and) 비트 단위로 and연산을 수행 비트가 둘다 1이면 1이고, 하나라도 0이면 0인 연산 & 연산은 위 표에서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면.. 1) 0과 and연산은 무조건 결과가 0이다 0&0 = 0 0&1 = 0 2) 1과 and연산은 나머지 비트를 그대로 가져온다 1&1 = 1 1&0 = 0 2가지 성질을 잘 이용하면.. 3) 어떤 비트열에서, 특정 부분을 0으로 만들고 싶다면.. 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