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4. 4. 17. 00:17

Unity 기본2 - C#의 연산자들

1. 사칙연산 +,-,*은 덧셈, 뺄셈, 곱셈인데 나눗셈 / 연산은 몫을 구해줌 %는 나머지를 구해주고 당연하지만 연산자는 우선순위가 있다. 곱셈, 나눗셈(나머지)을 먼저 하고 덧셈, 뺄셈은 뒤에 한다. 하지만 이런게 헷갈리면 먼저 연산하고 싶은걸 괄호 쳐서 하면 됨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HelloWorld : MonoBehaviour { // Start is called before the first frame update void Start() { int a = 5; int b = 3; Debug.Log(a + b); Debug.Log(a - b); Debug..

거짓말하는 사람 수 알아내는 방법(놀라운 양방향 누적합 테크닉)

1. 문제 31091번: 거짓말 (acmicpc.net) 31091번: 거짓말 당신 앞에는 $N$명의 사람들이 있다. 각 사람은 자신을 포함하여 몇 명 이상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말하거나, 몇 명 이하의 사람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각 사람이 다음과 www.acmicpc.net 2. 풀이 K명이 거짓말 한다고 가정하자. K = 0,1,2,3,..,n이다.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실제로 각 사람들의 말과 비교할때 누가 거짓말을 하는지 알 수 있다. 이때, 정말로 거짓말하는 사람 수가 K명으로 일치한다면 그러한 K값은 정답에 포함될 것이다. 예를 들어 2명이 거짓말을 한다고 하면... "1명 이상이 거짓말하고 있다."는 참이다. 실제로 2명이 거짓말하고 있으니까 "1명 이하가 거짓말하고..

파이썬의 논리 연산 and/or의 비밀 - 단축 평가 -

1. 논리 연산 A and B는 1)A가 True이고 B가 True이면 True 2) A가 True이고 B가 False이면 False 3) A가 False이고 B가 True이면 False 4) A가 False이고 B가 False이면 False >>> A가 False이면 B에 상관없이 A and B는 False A or B는 1) A가 True이고 B가 True이면 True 2) A가 True이고 B가 False이면 True 3) A가 False이고 B가 True이면 True 4) A가 False이고 B가 False이면 False >>> A가 True이면 B에 상관없이 A or B는 반드시 True 2. 단축평가 파이썬은 and, or 같은 논리 연산에서 결과가 확실하면 그 다음을 보지 않고 첫번째 값을 ..

2022. 7. 13. 03:02

귀류법과 수학적 귀납법 정확히 알기

1. 증명 19세기 말부터 증명이 무엇인지 많은 연구가 있었다 증명은 글로 쓰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명제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 확립된 상태 보통 정확한 명제식으로 쓰지는 않지만 근본적으로는 명제식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 증명이다 증명에 대한 수많은 오해는 p ↔ q 와 p → q를 혼동하는 것에서 시작함 2. 당구공 paradox '모든 당구공은 색이 같다'에 대한 증명 당연히 색이 같을리 없지만 논리적으로 증명하고자 함 ------------------------------------------------------------------------------------------------------------ 수학적 귀납법)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명제 P(n)이 참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2022. 7. 12. 02:49

논리학 연습문제1

1. 문제1 1) p: 0이 홀수이다, q: 미국에서 2080년 월드컵이 열린다. 명제식: p → q 참,거짓: '미국에서 2080년 월드컵이 열린다'라는 사실은 아무도 알 수없다 하지만 '미국에서 2080년 월드컵이 열린다'가 사실인지 몰라도 전체 p → q가 사실인지 아닌지는 알 수 있다 왜냐하면 p: 0이 홀수이다에서 0은 홀수가 아니므로 p는 반드시 거짓이다 가정인 p가 거짓이면 전체 p → q는 q의 참,거짓 여부에 관계없이 반드시 참이다 이를 많은 사람들이 받아들이지 못하지만 p → q가 참이어야 제대로 된 논리학을 만들 수 있다 https://deepdata.tistory.com/331 반드시 알아야하는 기초 논리학 - p가 거짓이면 'p이면 q이다'는 왜 참인가? 1. 공허한 참 'p이면 ..

2022. 7. 11. 02:31

hard logic과 soft logic의 차이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논리의 중요성

1. 프로그래밍은 왜 어려운가? 프로그래밍 언어 문법과 라이브러리의 사용으로 인한 어려움 hard logic(논리)의 사용으로 인한 어려움 이들에 대해 사람들에게 알려진 정도와 받아들여진 정도가 다르다 1-1) 문법과 라이브러리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어려운 점 이런 language를 배우지 않은 사람이나 초보자나 보면 무슨 소리인지 이해하지 못한다 이 프로그램이 한글자만 틀려도 제대로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초보자들이 특히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능숙해지기 위해 많은 훈련이 필요한 것은 사실 프로그래밍을 최초로 배울때 약간의 어려움이 있지만 훈련에 비례하여 실력이 느는 경향이 있다 일반 상식으로도 원래 알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훈련의 필요성에 반감이 없어서 실력 상승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공부함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