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눗셈 연산의 몫과 나머지 나머지는 %연산으로 구할 수 있지만 몫을 구하는 연산은 python과는 다르게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몫을 구할려면 나눗셈 결과 a/b를 int형 변수에 저장하면 된다 1-1) 형변환에 주의 첫번째 (double)a / b는 a를 double로 바꾼 9.0을 4로 나눈 2.25를 내놓지만 (double) (a/b)는 a/b 결과인 2를 double로 바꾼 2.0을 내놓는다. 그런데 a/b 결과가 왜 2냐고? 정수 a,b끼리의 나눗셈 / 연산은 실수가 아니라 정수로 내놓는다. 나눗셈 연산에서 두 항이 모두 정수형이면 / 연산 결과는 정수형(몫)이 나온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 문제 1288. 새로운 불면증 치료법 SW Expert Academy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2. 풀이 import java.util.Scanner;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으로 입력을 받기 sc.nextInt();는 정수값 입력을 받아 변수에 저장 ---------------------------------------------------------------------------------------- int[] visited = new int[10];은 길이가 10인 정수값 배열을 선언 0~9까지 봤는지 안봤는지를 체크하는 배열이다 -..
1. 합동식에서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성질 1-1) 양변에 어떤 정수에 대한 덧셈이나 뺄셈을 하더라도 상관없다. a≡b(modp)이고 c≡d(modp)이면, a±c≡b±d(modp) 그러므로, c = d이면, 양변에 동일한 수를 더하거나 빼더라도 합동식은 변하지 않는다. a±c≡b±c(modp) 1-2) 양변에 어떤 정수에 대한 곱셈을 하더라도 상관없다 a≡b(modp)이고 c≡d(modp)이면, ac≡bd(modp) 그러므로, c=d이면, 양변에 동일한 수를 곱하더라도 합동식은 변하지 않는다. $$ac \equiv bc (mod..
1. 문제 11653번: 소인수분해 (acmicpc.net) 11653번: 소인수분해 첫째 줄에 정수 N (1 ≤ N ≤ 10,000,000)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2. 소인수분해 하는 방법?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이 사람이 소인수 분해를 어떻게 하는지 생각해보자. 100을 소인수분해 한다고 해보자. 암산으로 5*20 >>> 5*4*5 >> 5^2 * 2^2이 나오기는 하는데... 이게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처음부터 생각해보자. 소인수분해는 소수들의 곱이다. 그러니까 소수의 최솟값인 2부터 시작해서 주어진 수 100을 나눠보면 된다. 만약에 100이 2로 나누어진다면? 100 = 2 * 50이다. 그러면.. 우리는 어떤 걸 이제 나누어보는가? 100을 2로 나누고 나온 몫인 50을..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