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버전에 업데이트 되어 화제가 되었던 별빛 포착 "소위 말하는 반천장을 쳤을 때, 일정 확률로 별빛 포착이 발동합니다" 이 경우 해당 기원의 픽업 캐릭터를 확정 획득하게 되죠. 반천장이 빗나가는 확률을 낮춰드리고, 다른 확률에는 어떠한 영향도 없습니다. 픽업 캐릭터의 획득 확률이 높아졌다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기존에는 50%의 확률로 픽업 캐릭터를 얻는 시스템이었는데, 이 업데이트로 55%의 확률로 픽업 캐릭터를 얻는다고 설명 하지만 업데이트 이후 사설 가챠 통계 사이트인 페이몬 모에에서는 기존과 동일한 확률로 집계되고 있었다. 이는 5.0버전 최종 집계 4.8버전 최종 집계 4.7버전 최종집계 ... 업데이트로 55%의 확률로 반천장 획득한다고 했지만, 실제 반천..
1. 여성이 82년 연속 더 많이 태어난다면 남성과 여성의 출생 성비는 정확히 1:1이 아니라 대략 1.05:1로 알려져 있다. 여자아이 100명이 태어날 때 남자아이 105명이 태어난다는 뜻이다. 이 사실을 처음 발긴 영국의 의사이자 과학자인 존 아버스넛은 1629년부터 1710년까지 82년 동안 영국 런던의 모든 출생 기록을 조사했는데, 해마다 태어난 여아가 남아보다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것은 우연일까? 만약 출생 성비가 1:1이었다면 태어난 여아가 남아보다 우연히 많을 확률은 1/2일 것이다. 그리고 82년 동안 매해 여아가 더 많이 태어나는 사건은 매우 드문 일이다. 그러므로 출생 성비가 1:1일 수는 없다. 2의 82제곱은 4835703000000000000000000이다. 그래서 여성이 ..
1.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두 변수의 통계적 관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값 -1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지며, 0인 경우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말한다. 세가지 성질을 가지는 것이 좋다. 1)두 변수의 값이 완전한 부합이면 +1, 완전한 비부합이면 -1 2)두 변수가 서로 독립이면 0 3)두 변수에 대해 크기의 순서가 보존되는 변환을 수행해도 상관계수의 값은 변하지 않는다 수치를 확인하기 전에 산점도(scatter plot)를 먼저 그리고 수치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기본 2.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두 변수 X,Y의 선형적 관계(linear relationship)의 측도 선형적 관계가 강하다는 것은 선형모형에 의해 두 변수의 관계를 잘 모델링할 수 ..
1. 문제 제기 빅데이터분석기사, ADsP를 공부하면서 p-value에 대한 정의가 이상한 것 같아서 이번 기회에 정리를 해볼려고 한다. 2. p-value에 대한 오해 2-1) p-value가 관측된 검정통계량이 귀무가설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관찰될 확률? 2-2) p-value는 제1종오류를 일으킬 확률? 3. p-value의 정의 위키피디아에서 ‘In null hypothesis significance testing, the p-value is the probability of obtaining test results at least as extreme as the results actually observ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null hypothesis is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