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투 포인터 기억해야할 점 - 끝 포인터를 처음으로 옮기지 않기

1. 문제 14246번: K보다 큰 구간 (acmicpc.net) 14246번: K보다 큰 구간n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주어질 때, 특정 구간 [i,j](i≤j)의 합이 k보다 큰 모든 쌍 i,j의 개수를 출력하시오.www.acmicpc.net 2. 풀이 첫번째 핵심두개의 포인터 i,j를 두고 i~j까지의 합이 k보다 작다면, 끝 포인터 j를 1칸 늘린다. 모든 수가 자연수이기 때문에 끝 포인터 j를 1칸 늘리면 구간 합이 증가하게 된다 ------------------------------------------------------------------------------------------------------------ 두번째 핵심반대로 i~j까지의 합이 k보다 크다면, 그 순간 j부터 ..

2022. 10. 30. 17:17

투 포인터 알고리즘 응용문제 배우기2 -정렬된 두 리스트의 합집합-

1. 개요 이미 정렬되어 있는 2개의 리스트의 모든 원소를 합쳐서 정렬한 결과를 계산하라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2. 알고리즘 2-1) 정렬된 리스트 A와 B를 입력받는다 2-2) 리스트 A에서 처리되지 않은 원소 중 가장 작은 원소를 i가 가리킨다 2-3) 리스트 B에서 처리되지 않은 원소 중 가장 작은 원소를 j가 가리킨다 2-4) A[i]와 B[j]중 더 작은 원소를 결과 리스트에 담는다 만약 A[i]가 더 작다면 i를 1 증가시킨다 B[j]가 더 작다면 j를 1 증가시킨다 2-5) 만약 i나 j가 가리키는 리스트의 길이를 넘어서는 경우, 남아있는 리스트의 원소를 모두 차례대로 담으면 된다 병합정렬이랑 똑같잖아? 3. 예시를 통해 이해하는 알고리즘 A = [1,3,5]이고 B=[2,4,6,8]일때, ..

2022. 10. 28. 00:33

투 포인터 알고리즘을 배우고 응용문제 해법 배우기

1. 개요 투 포인터 알고리즘은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할 때, 2개의 점의 위치를 기록하면서 처리하는 알고리즘이다. 예를 들어 한 반에 학생이 40명이 있을 때, 모든 학생을 번호 순서대로 일렬로 세운 뒤에 학생들을 순차적으로 지목한다고 하자 2,3,4,5,6,7번 학생을 지목해야할 때, 우리는 번호로 한명씩 부르기보다는, "2번부터 7번까지의 학생"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처럼 리스트에 담긴 데이터에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할 때는, '시작점'과 '끝점' 2개의 점으로 접근할 데이터의 범위를 표현할 수 있다. 2. 예시 - 특정한 합을 가지는 부분 연속 수열 찾기 문제 양의 정수로만 구성된 리스트가 주어질때, 그 부분 연속 수열중에서 특정한 합을 갖는 수열의 개수를 출력하는 문제를 생각해보자.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