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LSVRC ImageNet에서 개최하는 이미지 빅데이터 대회 classification, detection, localization, segmentation 등 문제는 다양하다 2015년부터 인간을 이기는 알고리즘이 등장함 human의 점수는 이 논문에서 실험을 통해 적절하게 추정을 했나봄.. 이 대회에서 1등을 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parameter 수를 점점 줄이면서 네트워크의 길이는 deep하게 하였다. 그러면서 학습 성능을 높였다 parameter 수는 줄이고 layer는 deep하게 하면서 performance를 높임 그러한 과정에서 1*1 conv를 적절하게 배치하는 아이디어 더 적은 크기의 kernel을 여러번 배치하면 큰 크기의 kernel을 적게 배치하는 것과 rece..
internal covariate shift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 layer를 지날수록 layer의 parameter의 변화에 따라 dataset의 분포가 변화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위와 같이 data가 layer를 지나가면서 분포가 변화한다고 생각한 것이 covariate shift 그런데 진짜있는 것인지는 논란이 많다 batch normalization은 각 layer마다 batch set을 normalization하여 분포의 변형을 막겠다는 것이다. batch의 평균과 분산을 구해서 각 입력값을 normalize 시킨다 마지막 γ,β는 normalize하면 activation의 nonlinearity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이를 조정하기 위함이고 학습해야하는 paramete..
GAN은 그 아이디어가 나온 뒤로 1~2년만에 급격하게 후속논문이 등장했다 그런데 DALL-E가 transformer로 엄청난 generation을 했는데 generation 문제에서 GAN이 정답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1. DCGAN 이미지를 discriminator할 때는 Convolution해가면서 마지막에 generating할 때는 deconvolution으로 생성했다는 것 같다 2. Info-GAN Generation에 class 정보도 집어넣으면서 특정 class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는거?? 3. Text2Image 문장이 주어지면 그것에 맞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4. Puzzle-GAN 이미지의 subpatch를 넣으면 원래 이미지를 복원한다 5. CycleGAN 두 이미지간 domai..
1. MRC와 ODQA는 무슨차이인가 MRC는 문서가 주어지고 그에 대한 질문이 함께 주어지면 모델이 문서를 읽고 질문에 대한 답을 내는 방식 ODQA는 문서가 주어지지 않았는데 질문이 주어지면 질문과 관련된 문서를 찾고 그 문서로부터 모델이 질문에 대한 답을 내는 방식 2. open domain vs. open book vs. closed book open domain은 질문이 주어질 때 관련된 문서를 찾아 읽고 질문에 답을 내는 task 자체를 나타냄 open book은 질문을 던졌을 때 모델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책’이라고 할 수 있는 거대한 corpus를 접근하게 하는것 closed book은 corpus없이 질문을 받으면 모델이 가지고 있는 사전지식만을 활용하여 정답을 냄 3. core ide..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