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9993 코딩테스트 연습 - 스킬트리 programmers.co.kr 선행 스킬이란 어떤 스킬을 배우기 전에 먼저 배워야 하는 스킬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선행 스킬 순서가 스파크> 라이트닝볼트> 썬더 일때, 썬더를 배우려면 먼저 라이트닝 볼트를 배워야 하고, 라이트닝 볼트를 배우려면 먼저 스파크를 배워야합니다. 위 순서에 없는 다른 스킬(힐링 등)은 순서에 상관없이 배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파크>힐링> 라이트닝볼트> 썬더와 같은 스킬트리는 가능하지만 썬더>스파크나 라이트닝볼트>스파크>힐링>썬더와 같은 스킬트리는 불가능합니다. 선행 스킬 순서 skill과 유저들이 만든 스킬트리를 담은 배열 skil..
1.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42 코딩테스트 연습 - 카펫 Leo는 카펫을 사러 갔다가 아래 그림과 같이 중앙에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고 테두리 1줄은 갈색으로 칠해져 있는 격자 모양 카펫을 봤습니다. Leo는 집으로 돌아와서 아까 본 카펫의 노란색과 programmers.co.kr Leo는 카펫을 사러 갔다가 아래 그림과 같이 중앙에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고 테두리 1줄은 갈색으로 칠해져 있는 격자 모양 카펫을 봤습니다 Leo는 집으로 돌아와서 아까 본 카펫의 노란색과 갈색으로 색칠된 격자의 개수는 기억했지만, 전체 카펫의 크기는 기억하지 못했습니다 Leo가 본 카펫에서 갈색 격자의 수 brown, 노란색 격자의 수 yell..
1. cross validation의 목적 과적합을 피하고 parameter를 튜닝하면서 일반적인 더욱 신뢰성있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2. holdout validation - validation set이 왜 필요할까?- validation set은 왜 필요한가? 일반적으로 train set과 test set을 7:3의 비율로 나누는데 그런 경우 train한 모델이 train set에만 과적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래서 train set을 train과 validation set으로 나누는데 이 경우 validation set으로 train model을 평가하면서 hyperparameter를 튜닝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데이터셋을 나누는 것을 holdout validation이라 한다. 그런데..
1. Computer vision이란? 사진이나 비디오 등 영상정보로부터 장면의 본질인 3D 모델을 구하는 기술을 Graphics라고 한다. 반대로 3D 모델, 어떤 물체의 본질을 가지고 있을 때 이것을 영상이나 비디오로 만드는 기술을 Computer vision이라고 한다. computer vision을 inverse graphics라고도 부른다 가장 먼저 딥러닝 기술에 의해 paradigm shift가 일어난 분야가 computer vision 2. AI란 무엇인가? 사람의 지능을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한 것 지능의 범위가 도대체 무엇? ‘사고하고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 외에도 시각이나 소리에 관한 지각능력, 이해에 관련된 내용도 포함한다 옥스포드에서 정의한 AI는 인간 지능의 범위를 시각 인지능력부..
1.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1 코딩테스트 연습 - [1차] 비밀지도 비밀지도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 programmers.co.kr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1.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1. 무어펜로즈 역행렬(Moore–Penrose pseudoinverse matrix)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안으로 무어-펜로즈 역행렬을 생각할 수 있다. 행의 수와 열의 수에 따라 구하는 방식이 다르다 역행렬처럼 되돌리는 연산이 가능하다 np.linalg.pinv()는 무어 펜로즈 역행렬을 구해준다 2. 연립방정식의 해법 연립방정식은 행렬의 선형변환을 이용해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연립방정식은 일반적으로 식의 수와 변수의 수가 동일할 때 정확히 하나의 해를 갖지만 식의 수가 변수의 수보다 적거나 같으면 해가 무수히 많을 수 있다. 2-1) 무어펜로즈 역행렬을 이용한 해법 해가 무수히 많은 경우 무어 펜로즈 역행렬을 이용하여 무수히 많은 해 중 하나의 해를 구할 수 있다 2-2) 선형회귀분석에..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