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의 변수(variable)와 데이터 타입(type)

1. 변수(variable)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의 프로그래밍상 이름

 

name = ‘daehyuck’의 의미는?

 

name이라는 변수(variable)에 ‘daehyuck’이라는 값(value)을 넣는다

 

변수는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있고 변수에 들어가는 값은 메모리 주소에 할당한다

 

a=8이라고 선언한 순간 메모리 특정영역에 a라는 이름의 물리적인 공간이 할당

 

a라는 이름을 가진 메모리 주소에 8이라는 값을 할당한다

 

etc-image-0
그림1. 변수 선언 상태를 가상적으로 표현한 그림

 

 

2. 데이터 타입(type)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논리형이 있는데 이들마다 차지하는 메모리 크기가 다르다

 

적절한 데이터 타입을 정하는 것이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점에서 중요할 수 있다

 

소수점이 있으면 float, 숫자더라도 따옴표 안에 들어가면 str

 

etc-image-1

 

 

파이썬은 코드 실행 시점에서 데이터 타입을 알아서 결정해주는 동적 타이핑 언어이다

 

etc-image-2
그림2. C의 변수 선언

변수 타입을 선언해야하는 정적 언어 C

 

etc-image-3
그림3. python의 변수 선언

 

변수 타입을 선언하지 않아도 알아서 타입이 결정되는 동적 언어 파이썬

 

 

3. 데이터 형 변환

 

float(a)는 a를 float형으로 int(b)는 b를 int형으로 str(c)는 c를 str형으로 변환한 값을 반환해준다

 

int(b)로 변환하면 소수점 이하는 내림

 

무조건 변환해주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실수가 들어간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면 에러남

 

etc-image-4
그림4. 실수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는 그림

 

실수를 int로 바꾸면 에러나는 그림

 

 

4. 참고

 

https://itmining.tistory.com/65

 

정적언어(타입)과 동적언어(타입)

이 글은 PC 버전 TISTORY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타입  타입이란, 한글로 자료형입니다. int형, short형, float형, bool형, 객체 등이 있습니다. int a = 10; bool isKilled = false; Character human = new Cha..

itmining.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