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claude desktop 설치 https://claude.ai/download 이렇게 코드 작성하고 server.py로 저장 # server.pyfrom mcp.server.fastmcp import FastMCP# Create an MCP servermcp = FastMCP("Demo")# Add an addition tool@mcp.tool()def add(a: int, b: int) -> int: """Add two numbers""" return a + b@mcp.tool()def gcd(a,b): """find gcd two number""" while b != 0: a,b = b,a%b return a# Add a dynamic g..
https://discuss.pytorch.kr/t/deep-research-model-context-protocol-mcp/6594 [Deep Research] Model Context Protocol(MCP) 개념 및 이해를 위한 학습 자료MCP(Model Context Protocol) 개념 및 이해를 위한 학습 자료 MCP의 기본 개념 및 역할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AI 모델과 외부 데이터 소스 또는 도구를 연결해주는 개방형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discuss.pytorch.kr 1. MCP의 기본 개념 및 역할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AI 모델과 외부 데이터 소스 또는 도구를 연결해주는 개방형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
14658번: 하늘에서 별똥별이 빗발친다 최대 50만*50만의 2차원 평면 위에 k개 최대 10만*10만의 L*L 정사각형으로 가장 많은 점을 포함시키려고 할때, 이 정사각형에 포함되지 않는 점의 개수를 구한다 정사각형의 모서리에 포함되어도 포함된 것으로 인정한다 ----------------------------------------------------------------------------------------------------------------------------------------------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평면 위에 가장 많은 점을 포함하는 정사각형의 배치는 반드시 존재할 수 밖에 없다. 그러한 최적 배치에 들어가있는 모든 별을 포함할 수만 있다면, 정사각형의 배치는 ..
1. 문제 2458번: 키 순서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붙여진 학생들의 키 순서가 주어진다. 예를 들어 1번 이 결과로 모든 학생중 키가 가장 작은 학생부터 자신이 몇번째 학생인지 알 수 있는 학생도 있고, 그렇지 못한 학생들도 있다. 이러한 결과가 주어질때 자신의 키가 몇번째 학생인지 정확히 알 수 있는 학생 수를 구한다 ------------------------------------------------------------------------------------------------------------------------------------------------ 상식적으로? 먼저 생각해보면 i번이 몇번째 순서인지 알고 싶다면 i번보다 키가 큰 학생의 수, 키가 작은 학생의 수를 찾..
1. 전체 요약 이 논문은 DeepSeek-V3 및 DeepSeek-R1 모델이 기존 대형 언어 모델(LLM)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어떻게 달성했는지를 분석합니다. 특히, OpenAI 및 Anthropic과 같은 기업의 폐쇄형 모델과 비교할 때 훨씬 적은 학습 비용으로 유사한 성능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핵심 기술을 다룹니다.1. DeepSeek 모델의 주요 기술(1) Multi-Head Latent Attention (MLA)기존 Multi-Head Attention (MHA) 구조의 단점을 개선하여 KV 캐시(KV Cache)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면서 성능을 유지하는 방식.저차원 행렬 분해를 활용한 Low-Rank Key-Value Joint Compression 기술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