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해야하는가? 원본 데이터의 값 범위가 크게 다를 경우, 일부 머신러닝 알고리즘에서는 정규화를 하지 않으면 목적 함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분류기(classifier)들은 두 지점 간의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계산합니다. 만약 어떤 특성(feature)이 매우 넓은 값의 범위를 가진다면, 이 거리 계산은 해당 특성에 의해 지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특성의 값 범위를 정규화하여, 각 특성이 최종 거리 계산에 거의 비슷한 비중으로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규화를 적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이 정규화를 통해 훨씬 더 빠르게 수렴하기 때문입니다. 정규화는 손실 함수에 정규..
1. 이항 연산자 표현식 (피연산자) (연산자) (피연산자)처럼 연산에 참여하는 피연산자가 2개인 표현식 대부분의 산술 연산자와 관계 연산자가 여기에 속함 1) 산술연산자(수치 계산) 대입: a = 10 더하기: a + b 빼기: a - b 곱하기: a * b 나누기: a / b 나머지: a % b 2) 관계 연산자 (true/ false로 관계 평가) 같음 : a == b 같지 않음: a != b 초과: a > b 이상: a >= b 미만: a 이하: a 3) 논리 연산자 논리 AND(둘 다 true일때만 true) : a && b 논리 OR(둘 중 하나만 true여도 true이고 둘 다 false일때만 false) : a || b 4)비트 연산자 AND : a & b OR : a | b X..
33708번: 인수분해 정렬 두 수 A[i]와 A[i+1]을 a*b = A[i]*A[i+1], a+b != A[i]+A[i+1]을 만족하는 a,b로 바꿀 때 원하는 만큼 이 연산을 시행해서 주어진 수열 A를 비내림차순으로 바꿀 수 있는가? ------------------------------------------------------------------------------------------------------------------------------------------- a = 1, b = A[i]*A[i+1]이라고 하면, A[i],A[i+1]을 반드시 1,A[i]*A[i+1] 반대로 a = A[i]*A[i+1], b = 1이라고 하면 A[i],A[i+1]을 반드시 A[i]*A[i+1],..
2253번: 점프 1번에서 n번으로 이동할건데 처음에는 1칸만 점프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이전에 x칸 점프했으면 이번에는 x-1,x,x+1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점프할 수 있다 물론 1칸 이상 점프해야한다 그리고 어떤 돌에는 점프할 수 없다 이때 필요한 최소 점프 횟수는? -------------------------------------------------------------------------------------------------------------------------------- dp[i][j]를 i칸에 왔을때 점프한 칸의 수가 j칸일때 최소 점프 횟수라고 정의해야할텐데 문제가 n이 최대 10000인데 점프할 수 있는 칸 수 j도 10000으로 잡으면 메모리 초과당할 것 같다 그래도..
33692번: 해밍 거리 두 정수 a,b의 해밍거리는 a,b를 각각 이진수로 나타내서, 동일한 위치의 비트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비트의 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9 = 1001 12 = 1100이므로, 2번째 비트와 4번째 비트가 서로 달라 9,12의 해밍거리는 2이다. 두 정수 A,B가 주어질때 A이상 B이하에서 해밍거리가 가장 큰 두 정수 a,b를 아무거나 구한다. -------------------------------------------------------------------------------------------------------------------------------------------------------- A,B를 각각 이진수로 나타내고 이진수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면, 앞..
30460번: 스위치 i초에 A[i] 점수를 얻는 게임 n초간 진행하는데 t초에 스위치를 눌렀을 때 t, t+1, t+2초에는 얻는 점수를 2배로 할 수 있다 t초에 스위치를 누르면 t+3초부터 다시 스위치를 누를 수 있다 가능한 점수의 최댓값은 ---------------------------------------------------------------------------------------------------------------------------------------- 그냥 평소대로 i초간 봤을때 스위치를 눌렀냐 안눌렀냐? dp[i][j]로 j = 0,1 했더니 안풀리더라 i초에 눌렀을때 i,i+1,i+2초 점수 2배로 먹는다 쳐도 i초에 안누르고 점수 그대로 가져가도.. i초에 눌..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