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의 2가지 특징 -빈 폴더 관리, 대소문자 인식-

1. git은 빈 폴더를 추적하지 않는다

 

빈 폴더를 프로젝트에 넣어 push하더라도 빈 폴더는 push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빈 폴더를 아무거나 생성해본다

 

 

 

그리고 commit해보면.. 변화가 없다고 나온다

 

 

 

 

실제로 아무 내용도 push가 안된다

 

git은 빈 폴더를 관리 대상으로 추적하지 않기 때문이다

 

 

2. 대소문자 인식

 

git은 파일의 대소문자를 알아차리지 못할때가 있다

 

git 은 폴더/파일명의 대소문자를 개무시한다. 그럼 우째? (tistory.com)

 

git 은 폴더/파일명의 대소문자를 개무시한다. 그럼 우째?

현상 : 내PC에서 폴더가 소문자인데 첫글자만 대문자로 바꿔서 commit push 했지만 나만 잘되고, 팀원들이 곡소리나는 상황;;;; 아놔 뭐임? 원인 : git은 파일명 또는 폴더명의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못

papababo.tistory.com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첫글자가 대문자인 파일들이 있다

 

 

Spring을 spring으로 바꾸고 commit하고 push해본다

 

 

 

그러면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나온다

 

 

 

그런데 때로는 소문자를 대문자로, 대문자를 소문자로 반드시 바꾸고 싶을 때가 분명히 있다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다음 설정을 먼저 하고 commit push를 해보자

 

 

그러면 이전과는 다르게 인식을 하고 commit, push가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