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기초문법4 -조건문-

1. 종류

 

1-1) if statement

 

조건 표현식의 결과값을 boolean 타입으로 변환하고 참/거짓을 판단

 

 

1-2) switch statement

 

조건 표현식의 결과값이 어느 값(case)에 해당하는지 판별함

 

주로 특정 변수의 값에 따라 조건을 분기할때 사용

 

조건이 많아질 경우 if문보다 가독성이 좋을 수 있음

 

 

2. if문

 

if, else if, else

 

조건은 소괄호 안에 작성하고, 조건이 참이면 실행할 코드는 중괄호 {}안에 작성함

 

 

if (조건1) {

<조건1이 참이면 실행>} else if (조건2) {<조건2가 참이면 실행>} else (조건3) {<조건3이 참이면 실행>}

 

블록 스코프를 생성함

 

 

3. switch문

 

표현식의 결과값을 이용한 조건문이다.

 

표현식의 결과값과 case문에서 지정한 값을 비교함

 

일치하는 부분의 중괄호 내의 문장을 수행함

 

switch(<expression>) {

  case <value1> {

<expression>의 결과가 value1이면...

 

<break>

}

 case <value2> {

<expression>의 결과가 value2이면..

 

<break>

}

<default: {

}>

}

 

break나 default는 작성하는데 선택사항임

 

break문이나 default문을 만날때까지 조건 비교를 계속 수행함

 

default는 아마 항상 수행되는 문장일듯

 

하나의 블록 스코프를 생성함

 

조건이 많으면 가독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데... 그런가?? 모르겠는데

 

 

4. fall through

 

switch문에서 break는 선택사항이라고 말하긴 했지만... case문마다 작성하는 것을 권장

 

쓰지 않으면, case가 참인 경우부터 시작해서, 그 뒤로 참,거짓과 무관하게 switch문의 끝까지 출력해버림

 

 

위의 경우는 첫번째가 윤대혁으로 일치하니까, 1번부터 4번까지 전부 출력함

 

 

이거는 2번째 윤대혁과 일치하니까 여기서부터 그 뒤는 참, 거짓과 무관하게 마지막까지 전부 출력

 

 

 

그래서 break문은 case마다 마지막에 반드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함

 

사용하지 않으면 디버깅이 어려워져서 분명히 후회할 수 있음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