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테스트에서 유용한 list의 split과 join
728x90
str.split([기준값])은 [기준값]을 기준으로 str을 분리하여 리스트로 만들고
list(str)은 str 1글자씩 원소로 갖는 리스트로 만들어 반환
string = 'daehyuck'
string.split()
['daehyuck']
string2 = 'daehyuck yun'
string2.split()
['daehyuck','yun']
list(string)
['d','a','e','h','y','u','c','k']
‘(기준값)’.join(list)는 리스트를 받아서 기준값으로 리스트 원소를 이어 문자열을 반환함
입력된 글자를 역순으로 출력하는 프로그램
word = input('input a word:')
word_list = list(word)
reverse_list = []
for i in range(len(word_list)):
reverse_list.append(word_list.pop())
#str(reverse_list)랑 ''.join(reverse_list)는 다르다
reverse_word = ''.join(reverse_list)
print(reverse_word)
input a word:daehyuck
kcuyhead
리스트를 문자열로 만들 때 str()함수 쓰면 그냥 ‘[1,2,3]’이 되어버림
’’.join(list)하면 리스트 원소들을 모두 붙여서 string을 얻을 수 있음
728x90
'프로그래밍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에서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0) | 2022.02.09 |
---|---|
파이썬(python)의 defaultdict, ordereddict, namedtuple (0) | 2022.02.01 |
파이썬(python)의 lambda, map, reduce (0) | 2022.01.29 |
함수의 인자(argument)와 *(asterisk)의 용도 (0) | 2022.01.28 |
파이썬(python)의 객체(object)와 클래스(class) (0) | 2022.01.27 |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