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pdate 게임 세상 속 모든 정보는 실시간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게임은 주기적으로 갱신 처리를 실행 일반적으로 화면이 새로 그려지는 주기에 맞춰 실행 컴퓨터 화면은 1초에 60번 정도 화면을 새로 그리는데, 매번 새로 그리는 각각의 화면을 프레임이라고 부름 1초동안 화면이 새로 그려지는 횟수를 FPS라고 부른다 PC나 콘솔게임 화면은 보통 60FPS, 화면을 1초에 60번 갱신하므로, 이전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 사이 간격이 1/60초 60FPS는 평균값이고, 컴퓨터 성능에 따라 가변적이다. Update() 메소드는 Start() 메소드처럼 특정 시점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유니티 이벤트 메소드 한 프레임에 한 번, 매 프레임마다 반복 실행 ..
1. state란 무엇인가 리액트에서 state는 리액트 컴포넌트의 상태 상태라는 단어가 정상이냐, 비정상이냐를 나타내는 것보다는 리액트 컴포넌트의 데이터라는 의미에 더 가깝다. 리액트 컴포넌트의 변경 가능한 데이터를 state라고 부른다. state는 사전에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라, 리액트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개발자가 직접 정하는 것이다. state를 정의할 때 중요한 점은 렌더링이나 데이터 흐름에 사용되는 값만 state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state가 변경될 경우 컴포넌트가 재렌더링되기 때문에, 렌더링과 데이터 흐름에 관련 없는 값을 포함시키면,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되어 성능을 저하 시킬 수 있다. 그래서 렌더링과 데이터 흐름에 관련 있는 값만 state에 포함하도록 해야하며, 그렇지 ..
1. set 중복되는 요소가 없이, 순서에 상관없는 데이터들의 묶음 중복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중복되는 원소가 있다면 하나만 저장함 순서가 없으므로 인덱스를 이용한 접근이 불가능하다 수학에서 집합을 표현한 자료형 >> 집합연산이 가능한데, 여집합을 나타내는 연산자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아 >> 중복된 값이 존재하지 않아 담고 있는 요소를 삽입, 변경, 삭제가 가능함 >> 가변 자료형(mutable) 2. set의 메소드 리스트에서 append()를 쓰는것과는 다르게 set은 add로 추가한다는 점에서 add가 제일 중요하고.. 나머지도 알아보자고 set은 순서가 없는 자료형이기 때문에 s.pop()을 하면 랜덤하게 항목을 제거해서 반환한다고함 비슷하게 add()도 랜덤한 위치에 넣는다고 하는데 3. s.ad..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