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4. 5. 22. 02:57

floating point와 fixed point 간단하게

1. floating point와 fixed point의 차이 fixed point는 부호(+ , - )와 정수부와 소수부로 나누어서 실수를 저장하는 것 만약 32bit인 경우 예를 들면 정수는 8비트 소수부는 23비트만 저장하겠다고 고정을 하고 실수를 저장함 정수를 표현하고자하는 비트 수를 늘린다면 더 큰 숫자를 표현할 수 있지만  그만큼 소수부 비트가 줄어들어서 정밀한 숫자를 표현하기 어렵다 반면 소수부 비트를 늘린다면 정밀한 숫자를 표현할 수는 있어도 큰 숫자를 표현하기는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loating point 방식이 등장했다 모든 실수를 부호(+,-)와 가수부와 지수부로 나누어 저장함   소수점을 옮긴다는 생각은 의미가 없는게  floating point는 12345를 $1..

2024. 3. 3. 00:28

unicode와 한국어 간단하게 알아보기

1. unicode 다양한 언어처리에서 기본적으로 중요함 전 세계 모든 문자를 일관되게 표현하고 다룰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문자 set 문자마다 숫자 하나에 mapping? character을 보면 알겠지만 웬만한 문자들이 전부 unicode에 대응되어 있음 위 그림에서 보면 U+는 unicode를 뜻하는 접두어이고 AC00은 16진수 code point이며 이것이 1개의 character에 대응됨 2. UTF-8 encoding이란 문자를 컴퓨터에서 저장하거나 처리할 수 있게 이진수로 바꿔주는 작업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encoding방식 중 하나가 UTF-8 문자 타입에 따라 다른 길이의 byte를 할당했음 ASCII는 256개로 character를 제한하면서 영어의 알파벳은 모두 ASCII code..

2024. 1. 3. 23:42

컴퓨터 상식 - 소수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컴퓨터는 왜 2진수를 사용하는가? 실리콘이라는 재료로 만든 반도체로 구성됨 이 반도체는 특정 자극을 줄 때 전기가 통해서 전류가 흐르면 1,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0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 단순 소수도 이진수로 변환하면 무한소수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반올림하면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는데 요새는 일반적으로는 큰 문제는 없다 아마 이것도 실수오차가 발생하는 이유가 되겠지 10진수 0.1을 2진수로 바꾸면 0.0001…..(2)가 된다

2024. 1. 3. 23:29

폰 노이만 아키텍처(Von Neumann architecture)

폰 노이만이 제시한 CPU,메모리,프로그램 구조를 갖는 컴퓨터의 작동 방식 현재와 같은 컴퓨터의 구조를 만든 획기적인 아이디어 사용자가 컴퓨터에 값을 입력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그 정보를 먼저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CPU가 순차적으로 그 정보를 해석하고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결과값을 전달 사용자가 값을 입력하면 메모리에 먼저 저장시킨다는 사실이 중요함

2023. 6. 17. 02:07

1장의 그림으로 아주 간단하게 이해하는 nginx

nginx가 뭔지 몰랐는데 친구가 한장의 그림으로 아주 간단하게 설명해줘서 원래 웹이 fastapi, backend frontend로 구성되어 있을때, 사용자가 특정 요청을 보내면 해당 요청으로부터 nginx가 어디로 보내야할지 판단해서 요청을 보내주는 역할 어떤 요청이 어디로 가야할지는 nginx를 설정하는 사람이 설정해놓는다 다음과 같이 https://ae-book.com/fast/...으로 로 들어오는 요청은 앞에 /fast를 보고 fastapi로 보내면 되겠구나 생각하고 nginx가 알아서 보내준다 nginx 필요없이 fastapi는 /fast로 하고 backend는 /back으로 하고.. 등등 일일이 알아서 처리하면 되는거 아니냐 해서 처음에 nginx 안쓰고 그랬는데(나는 그냥 이해를 못했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