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표현식 프로그램은 많은 식과 조건이 조합되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의 모음 프로그래밍에서 계산할 때 사용하는 식을 표현식(expression) 계산을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항상 결과를 가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표현식은 여러개의 피연산자와 연산자로 구성 연산자는 연산의 종류를 결정하고 피연산자는 연산에 참여하는 값 또는 식별자이다 표현식: 1 + 2 1,2는 피연산자 +는 연산자 2. 상수 표현식 상수로만 이뤄진 단순한 표현식 상수는 1, 12.345, 'A'같이 변하지 않는 값 3. 단항 연산자 표현식 연산자와 피연산자가 일대일로 매칭되는 표현식 연산에 참여하는 피연산자가 하나인 표현식이다 형변환, 부호변경, 증감 연산자 등이 모두 포함 부호 연산자: +a, -a 증감 연산자: ++a,..
1. 암시적 형변환(implicit cast)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변환 주로 작은 크기의 자료형에서 큰 크기의 형식으로 변환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float float_value = 1.5f; // 원본 데이터는 부동 소수점 형 1.5 double double_value = float_value; // 숫자 승격: 데이터 유실 없음 int int_value = float_value; //숫자 변환: 데이터 유실 발생 cout double는 float와 같은 부동소수점 계열인데 더 큰 자료형이므로, 유실없이 float형을 자동으로 double형으로 바꾼다 이를 숫자 승격이라고 부른다(암시적 형변환) double double_value = floa..
1. 문제 1288. 새로운 불면증 치료법 SW Expert Academy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2. 풀이 import java.util.Scanner;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으로 입력을 받기 sc.nextInt();는 정수값 입력을 받아 변수에 저장 ---------------------------------------------------------------------------------------- int[] visited = new int[10];은 길이가 10인 정수값 배열을 선언 0~9까지 봤는지 안봤는지를 체크하는 배열이다 -..
1. 변수(variable) 1-1) 정의 데이터를 저장할 메모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이름 메모리 상에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겠다 적절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변수의 타입이 등장했다 = 이라는 할당 연산자를 통해 CPU에게 연산작업을 의뢰함 변수를 선언한다는 것은 메모리 공간에 어떤 값을 담을 일부 공간을 잡는 것 어떤 값을 넣을지에 따라 잡아야할 공간의 크기가 달라져서, 변수의 타입이 필요했다 1-2) 메모리 단위 0과 1을 표현하는 bit 8bit = 1byte 1-3) 작명 규칙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공백은 허용하지 않는다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특수문자 중에서 $, _만을 변수 이름에 허용한다 예약어(keyword = 자바 문법을 위해 미리 지정된 단어)는 사용불가 합성어의 경..
1. 변수(variable)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의 프로그래밍상 이름 name = ‘daehyuck’의 의미는? name이라는 변수(variable)에 ‘daehyuck’이라는 값(value)을 넣는다 변수는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있고 변수에 들어가는 값은 메모리 주소에 할당한다 a=8이라고 선언한 순간 메모리 특정영역에 a라는 이름의 물리적인 공간이 할당 a라는 이름을 가진 메모리 주소에 8이라는 값을 할당한다 2. 데이터 타입(type)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논리형이 있는데 이들마다 차지하는 메모리 크기가 다르다 적절한 데이터 타입을 정하는 것이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점에서 중요할 수 있다 소수점이 있으면 float, 숫자더라도 따옴표 안에 들어가면 str 파이썬은 코드 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