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파일은 C++ 소스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변경하는 과정 1) 컴퓨터의 프로세서는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당장 해석할 수 없어서 프로세서가 이해할 수 있는 오브젝트 코드로 변경해야하는데 이를 컴파일(compile)이라 함 2) 때로는 프로그램의 소스파일이 여러개일 수 있는데, 각각의 소스파일을 컴파일하여 만든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파일로 묶는 과정을 링크(link)라고 함 컴파일과 링크를 거쳐 프로세서가 실행할 수 있는 파일이 만들어진다. 3) C++은 컴파일하기 전에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데, 소스파일이 컴파일되기 전에 소스 코드를 변경하거나 확장하는 등 작업을 의미 전처리기는 #include, #if, #define 등 #기호로 시작하는 지시문을 해석하고 그에 따라 소스 코드를 변경..
게임을 완성했다면, 빌드해서 배포해야한다 File - Build Settings platform을 설정해야하는데, 보통 window니까 windows를 설정하고 위에 Add Open Scenes를 눌러서 현재 게임 Scene을 추가해준다. samplescene의 체크박스는 해제해주고, 현재 scene만 활성화 기본적으로 게임은 전체화면인데, 화면 크기를 바꿀수도 있다 좌하단에 player settings를 누른다 resolution and presentation을 눌러서, windowed로 설정을 바꿔주고, width, height를 바꿔주면 화면 크기를 바꿀 수 있다 마지막 우하단의 build를 누르면, 폴더 위치를 지정하고 빌드를 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wi..
PytorchKR 레포지토리 기여 중에 Sphinx에 대해 알게되었다 자세한 활용은 해보지 않았으니 생략하고 이런게 있다는 느낌정도만 가져가자고 Sphinx는 Python 프로젝트를 문서화하는 라이브러리인데 pip install sphinx로 설치 가능 !pip install sphinx sphinx로 작성하는 문서는 rst파일로 되어있는데 고쳐야하는 부분을 고치면 된다 다행히 python 코드가 입력되는 부분은... code :: python으로 되어있고 python 문법을 따르더라고 다음 빌드를 위해 sphinx-quickstart를 입력 설명에 따라 입력해주면 되는데 소스 코드와 빌드 경로를 분리할건지 아닌지? 기본값은 n이라네 그 외에 프로젝트 이름이나 작가 이름, 버전, 프로젝트 언어 등을 입력..
1. 컴파일과 빌드 1-1) 컴파일 작성한 소스 코드를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 작성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이진수 코드로 바꾸는 것이다 1-2) 빌드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산출물(jar,war,...)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 1-3) 링크 여러 개로 분리된 소스 코드들을 컴파일한 결과물들에서 최종 실행 가능한 파일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찾아 연결해 주는 작업이다 car라는 클래스를 작성한 코드 >> A파일로 컴파일 list_cars라는 클래스를 작성한 코드 >> B파일로 컴파일 list_cars는 car를 담는 코드일텐데 컴파일된 A파일로 되어 있으면 car가 뭔지를 모른다는 것 이럴 때 link를 통해 필요한 부분을 찾아 연결해서 최종 실행 가능한 파일로 바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