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2. 10. 1. 02:26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지식8 -알파고는 어떻게 학습했을까?-

1. 정책망(policy network), 어디에 돌을 놓아야하는가? 정책망은 사람이 만든 기보를 이용하여 학습한다. 학습에 사용한 데이터는 KGS라는 바둑 사이트에서 가져왔으며 6단 이상의 고수의 기보만 사용했다고 한다. 얼핏 생각하면 9단 기사의 데이터를 사용하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그러기에는 데이터의 수가 부족했다. 알파고 개발자는 데이터의 수가 충분하면서도 좋은 기보 수준을 6단으로 정했던 것이다. 각 데이터는 바둑판의 상태와 해당 상태에서 실제로 다음번 바둑알을 둔 곳의 위치를 함께 쌍으로 구성되었고 (그러니까 (바둑판의 상태,다음번에 바둑알을 둔 위치)로 데이터가 주어진다는 말인듯) 정책망은 약 16만회의 게임에서 총 3000만 수를 가져와 학습했다. 학습을 마친 정책망은 바둑판의 현재 상태..

2022. 9. 27. 02:59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 지식6 -인간을 능가하는 기계의 등장-

1. 딥블루는 어떻게 세계 체스 챔피언이 되었는가 1997년 인간과 컴퓨터의 자존심을 건 체스 대결이 펼쳐졌다. 가리 카스파로프는 1984년 만 20세 최연소 세계 체스 챔피언으로 등극한 이해 줄곧 세계 1위를 유지하였고 적어도 체스로 그를 이길 수 있었던 인간은 존재하지 않았다 카스파로프를 상대할 컴퓨터 대표 딥 블루(Deep blue)는 IBM의 슈퍼컴퓨터인데 이전에도 몇 차례 체스 시합에 도전했지만 번번이 무릎을 꿇었다. 바로 직전 1996년에도 안타깝게 4:2로 패했다. 이후 딥블루는 보다 정교한 체스머신이 되어, 내부에서도 디퍼 블루라는 애칭으로 부를 정도로 더욱 강력해져서 돌아왔다. 그리고 이날 대회에서 딥블루가 마침내 카스파로프를 꺾고 체스 세계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컴퓨터가 정규 시합에서 ..

2022. 9. 20. 02:49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 지식3 -인공지능 발전에 영향을 준 요소들-

1. 데이터는 인공지능의 원유 2012년부터 떠오르는 10대 기술로 첫번째를 빅데이터로 선정할 정도로 이미 가장 중요한 기술로 선정되었는데, 빅데이터가 도대체 무엇이냐?라고 물으면 대답하기 쉽지 않았다 단순히 많은 데이터를 모아두는 것이 왜 바이오, 화학, 식량보다 중요한 기술이냐는 것이다. 당시에는 그만큼 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부족했다. 1907년 프랜시스 골턴이 에 논문 한 편을 제출하는데.. 논문 내용 중에 커다란 황소 한마리를 도축하고 고기 중량을 알아맞히는 이벤트를 진행했다고 한다. 관객들은 6펜스를 내고 티켓에 이름, 주소, 추정 무게등을 기입하여 제출했는데 800여명이 참여하였고 골턴은 이들의 중앙값을 구해보았다고 한다 중앙값은 547kg이었는데 실제로 도축한 고기의 무게는..

2022. 9. 16. 01:37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지식 2 -딥러닝의 등장-

1. 딥러닝은 왜 갑자기 잘 동작하는가? 딥러닝이 갑자기 잘 동작하게 된 이유중 하나로 알고리즘의 발전을 들 수 있다. 과거 인공 신경망 시절 해결할 수 없는 문제도 많았고 제대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도 알지 못했다. 그러나 끝까지 연구를 이어온 일부 연구자 덕분에 제대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딥러닝은 머신러닝의 일종으로 머신러닝과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데이터와 정답을 입력하면 스스로 규칙을 찾아낸다" 그러나 딥러닝은 기존의 머신러닝에 비해 훨씬 더 크고 풍부한 역량을 지닌 모델이다.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고, 훨씬 더 풍부한 규칙을 찾아낼 수 있다. 이러한 딥러닝의 특징이 돋보이는 분야가 바로 기계번역이다. 요즘 기계번역은 전문 번역가가 직접 작업한 듯 자연스러운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