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4. 1. 16. 02:45

23장 편견도 데이터가 많으면 바뀐다

다시 동전 던지기 게임이 시작됐다. 동전을 10번 던져 그 결과를 보고 시연자가 앞면이 절반 나올 확률로 던지는 공평한 사람인지, 68% 확률로 던지는 캐나다 의사인지 맞춰보자. 이번에는 동전을 10번 던져 앞면이 무려 9번이 나왔다. 통계학자의 계산에 따르면 10번 던져 앞면이 9번 나왔을때, 시연자가 캐나다 의사일 확률은 91%, 공평한 사람일 확률은 9%라고 한다. 캐나다 의사일 확률이 높으므로 시연자는 캐나다 의사이다. 베이즈 추론의 결과이다. 이 확률값 91%는 어떻게 계산할까? 놀랍게도 가장 객관적일 것 같은 이 확률은 사실은 매우 주관적인 값이다. 다음은 게임을 시작하기 전 여러분이 할 법한 생각이다. 1) 시연자가 공평한 사람인지 의사인지 알 수 없으므로 캐나다 의사일 확률은 50% 2) ..

2023. 12. 15. 01:23

12장 내일도 해는 동쪽에서 뜰까

1. 석기시대 고인돌 가족 이야기 석기시대의 고인돌 가족에게 세상은 두려움 그 자체였다. 동굴에 사는 이 가족의 막내아들은 아침 해가 동굴 앞 작은 언덕 쪽에서 솟아오르는 모습을 발견한다. 내일도 언덕 쪽에서 해가 뜰까? 엄마는 해가 항상 동쪽에서 떠오른다고 말하지만 호기심 가득한 막내아들은 곧이곧대로 믿지 않는다. 막내아들은 이렇게 생각한다. 내일 해가 언덕 쪽에서 뜰지, 거꾸로 동굴 쪽에서 뜰지는 알 수 없다. 이튿날 막내아들은 해가 언덕 쪽에서 떠오르는 것을 보고 이렇게 생각한다. 어쩌면 해는 언덕 쪽에서만 떠오를지도 몰라. 다음 날도, 그 다음 날도, 해가 언덕 쪽에서 떠오르는 광경을 본 막내아들은 결국 엄마 말이 맞았다고 생각한다. 2. 베이즈의 정리를 이용한 기술 자연현상에 대한 막내아들의 무..

2022. 10. 9. 00:13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지식12 -베이즈 정리, 자율주행의 기본-

1. 움직이는 컴퓨터가 되어버린 자동차 자율주행차는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절대로 하지 않습니다. 언제나 운전에만 집중하죠. 2020년 1월 공공도로에서 구글의 자율주행차 웨이모는 약 3200만 km 이상을 달렸습니다. 지구둘레를 800바퀴 돈 거리죠. 2019년부터 21개월 동안 공공도로에서 600대의 자율주행 차량이 테스트 운행을 했지만 접촉사고는 18건밖에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사고는 대부분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의 실수였고,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지는 사고는 단 1건도 없었습니다. 아직 상용화 단계가 아닌 개발 중인 시험차의 결과가 이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자율주행차는 어떤 방식으로 운전대를 조작할까요? 1994년 우리나라 최초의 자율주행차 논문을 고려대 연구실에서 발표했습니다. 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