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스칼의 삼각형 이항계수에 대한 성질 nCr=n−1Cr−1+n−1Cr을 이용하여 이항계수 값들을 미리 테이블에 저장해놓는다 시간복잡도는 O(n2) n과 r이 10000이상이면 사용하기 힘들지만 충분히 작다면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을 정도로 충분히 빠르다 2. 알고리즘 2-1) 행의 수 t를 입력받는다 2-2) 1부터 t+1까지 모든 행에 대해 0으로 초기화한 2차원 배열 생성 ------------------- 만약 행의 수가 아니고 최대 1000Cr까지 구하고 싶다면??? 1001개의 행을 받아야한다는 점을 기억해야한다 ------------------- 2-3) 각 행의 맨 처음과 맨 끝은 1로 만들고 2-4) 나머지는 nCr=n−1Cr−1+n−1Cr을 이용하여 ..
1. 문제 N개의 block이 일렬로 있고 0부터 N-1까지 숫자가 붙어있다. 사이가 안좋은 개구리가 하나의 block위에 함께 있는데 이들이 서로 최대한 멀리 떨어지려고 한다. 만약 J와 K, J= s_h: s_h = h first += 1 else: break 현재 s-1에 첫번째 개구리가 시작할건데 blocks의 s부터 오른쪽으로 순회를 해서 h라고 두는거임 만약 h가 시작높이 s_h보다 크거나 같으면 점프할 수 있고 현재 개구리 높이 s_h를 h로 두고 first에 1을 더해서 개구리 위치를 갱신한다 근데 점프를 못하는 순간 더 이상 오른쪽으로는 못간다는 소리이므로 반복문을 탈출 s_h = blocks[s] #second frog for ind,h in enumerate(blocks[s::-1])..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