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회귀분석을 수행할 때 회귀계수는 유의하더라도 절편이 유의하지 않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intercept가 유의하지 않고 회귀계수가 유의하니까 추정된 회귀식을 y = 1.5295x라고 적어야할까? 아니면 y = 1.5295x + 6.4095라고 적어도 괜찮은 걸까? 정답은 후자다. 절편을 아무 근거없이 함부로 제거하면 안된다 2. 절편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y = a+bx라는 회귀식에서 절편 a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 절편이라는 것은 설명변수의 위치에 의존하게 된다. '설명변수 x=0일 때 반응변수 y의 값이 상수 a와 같다' 설명변수 x가 0일때라는 점에서 절편이 갖는 의미가 생각보다 중요하지 않다 설명변수 x가 0일때 의미없다면 절편도 아무런 의미를 갖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생각해보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