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편한 코드를 위해 기능을 나눠서 쪼갠다 반복해서 실행시킬 부분을 쪼갠다 1. 함수의 선언 함수의 실행이 끝나고 모든 계산이 끝난 결과 리턴할 값의 데이터 타입을 알려줘야한다. (함수의 리턴 타입) (함수명)(parameter) { 함수 내 실행 명령 } int Square(int x){ } 근데 이렇게만 쓰면, 리턴 타입이 int인데 리턴이 없어서 다음과 같이 빨간줄 나온다 x*x를 return하도록 하면 빨간줄 없어짐 참고로 함수명은 대문자로 시작하는게 C#의 관습 2. 함수 사용 Square(10);해서 10을 인자로 넘겨주면, 함수 내에서 int x = 10;으로 사용해서 return x*x;로 x*x를 돌려준다 이 x라는 값은 이 함수 내에서만 사용된다 using System.Collecti..
get요청으로 단순히 다음과 같이 데이터를 보내면.. 서버가 데이터를 받지 못한다 //client const data = {id:state}; const response = await axios.get('/get/one',data) 서버에서 다음과 같이 data를 받아본다면... //server.js app.get('/get/one', (req,res) => { console.log(req.body) }) data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실제로 아무것도 찍히지 않는다 get요청으로 데이터를 보낼때는, get요청이 post와는 다르게 주소창을 통해서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params라는 옵션으로 다음과 같이 데이터를 보내줘야한다고 한다 //client const response = await axios..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