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진 탐색(binary search) 배열 내부의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 데이터가 무작위일 때는 사용할 수 없지만, 이미 정렬되어 있다면 매우 빠르게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하는 특징이 있다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 3개를 사용하는데 탐색하고자 하는 범위의 시작점, 끝점, 그리고 중간점이다. 찾으려는 데이터와 중간점 위치의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비교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게 이진 탐색이다. 이미 10개의 정렬된 데이터에서 값이 4인 원소를 찾는 예시를 살펴보자 1) 먼저 시작점과 끝점을 확인하고 둘 사이에 중간점을 정한다 시작점은 0, 끝점은 9이고 중간점은 4.5인데 중간점이 실수면 소수점 이하를 버린다 그래서 중간점은 4..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