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열은 왜 필요한가? 어떤 집단의 학생 이름을 String 타입으로 다음과 같이 저장했다 String name1 = "태연" String name2 = "아이유" String name3 = "수지" String name4 = "윤아" String name5 = "신세경" String name6 = "카리나" 근데 이 집단에 학생이 더 들어온다면.. name7,name8,.... 계속 이렇게 저장해야하나? 변수의 수도 계속 증가하고, 코드 길이도 계속 증가하게 될것 이름이 name1,name2,... 비슷해보여도 전혀 다르기 때문에 반복문으로 확인하기도 어렵고 갑자기 어느날에는 학생이 10명이었다가, 다음날에는 학생이 100명이 었다가.. 다음날에는 학생이 50명이었다가.. 동적으로 변한다면? 그때마..
1. 개요 참조 타입(reference type)에 해당하는 타입은 Array와 Object이며 객체라고도 말함 객체는 속성들의 모음이다. 2. 배열(array) 키와 속성들을 담고 있는 참조 타입의 객체 순서를 보장 주로 대괄호 []를 이용해 생성하고, 0을 포함한 양의 정수 인덱스로 특정 값에 접근 가능 배열의 길이는 array.length 형태로 접근 마지막 원소는 array.length-1로 접근 3. 배열의 메소드 3-1) array.reverse() 원본 배열 요소들의 순서를 반대로 정렬함 내림차순 정렬이 아니고, 그냥 뒤집는 것일 뿐 3-2) array.push() 배열의 가장 뒤에 요소를 추가함 3-3) array.pop() 배열의 마지막 요소를 제거함 근데 파이썬처럼 array.pop(2..
1. reshape 원소 개수는 바꾸지 않고 array의 shape를 변경함 원소 개수는 shape의 모든 축의 곱 np.array().reshape() dim에 -1을 포함시키면 그 부분은 파이썬이 데이터 수에 맞게 알아서 잡아준다 2. flatten 다차원 array를 1차원 array로 만들어준다 (2,2,4)의 3차원 array를 (16,)의 1차원 array로 flatten 시킴 원소의 수인 모든 shape의 곱이 16으로 일정해야함 3. indexing 리스트와는 다르게 [a,b]의 직관적인 indexing을 제공함 indexing으로 값 변경도 가능 0행 2열의 원소를 test_exampe[0,2]로 불러올 수 있음 0,0의 원소인 1을 test_example[0,0]=10으로 변경 가능 4..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