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함수(function) 반복하고 싶은 코드 덩어리들을 모아놓은 것 엑셀에서 sum(), average(), count() 등이 존재하듯이 파이썬에도 여러가지 함수들이 존재함 파이썬의 함수는 built in function(내장함수), non-built in function으로 나뉜다 print('hi'), len('hi'), abs(-3) 등등이 파이썬의 내장함수.. 파이썬 설치만 하면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함수들 len()은 주어진 값의 길이를 세는 함수로 len('hi') 는 2를 반환 abs()는 주어진 값의 절댓값을 구하는 함수로 abs(-3)은 3을 반환 2. 모듈(module) 함수나 변수 등을 필요에 의해 모아놓은 파일 비슷한 기능을 가지는 함수들을 묶어서 보관함 사용방법? 1) ..
위에 제시된 데이터프레임의 행의 개수를 구할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434개인건 명백한데 count함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다음은 데이터프레임에 들어간 boston['RM'].unique() array를 len함수를 이용해서 개수를 세어본 결과이다. 그 비밀은 NA값에 있다. 행의 개수를 세야할 때 pd.DataFrame.count()로 데이터프레임의 행의 개수를 셀 수 있는데 count()함수는 NA가 아닌 값만 세는 특징이 있다. 설명을 보면 non-NA값만 개수를 센다고 나와있다. 그래서 NA값을 세야하는지 세면 안되는지에 따라 주의해서 사용해야한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