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GBM은 그 이름 Light에서도 알 수 있듯이 computational cost를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고급기술?을 도입하였다고 합니다. 그 중 하나인 Gradient based one sided sampling에 대해 직관적으로 이해해봅시다. 위에서 gradient boosting 기법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각 data row마다 residual을 계산하여 learning rate를 이용한 예측값을 갱신하는 과정이 있었습니다. 이것은 마치 data row가 가지는 gradient로부터 gradient descent를 하는 과정을 연상시키죠. 그런데 Gradient based one sided sampling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gradient를 기반으로 필요없는 데이터는 버리겠다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