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가 무작위로 섞여있는 상태를 생각해봅시다. 이럴 때 우리는 무작위로 선을 그어 빨간색 데이터와 파란색 데이터를 구분하고자 합니다. 어떻게 그어야 가장 잘 분류를 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그러니까 빨간색과 파란색을 어떤 선을 그어서 구분을 해야 가장 잘 구분을 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직관적으로 한쪽 영역에는 순수하게 파란색만 존재하고 다른쪽 영역에는 순수하게 빨간색만 존재해야겠죠? 무작위로 섞여있는 불순물한 상태(impurity)에서 순수한 데이터들만 존재하도록 (purity)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 데이터를 잘 분류한 것입니다. 다른 말로는 불확실하게 데이터가 섞여있는 상태에서 누구라도 확실하게 빨간색과 파란색을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이 분류라는 것입니다. decision tree는 이러..
1. 정보이론의 핵심 아이디어 잘 일어나지 않는 사건은 자주 발생하는 사건보다 정보량이 많다. 예를 들어보면 ‘아침에 해가 뜬다’는 정보는 누군가에게 알려줄 필요가 없을 정도로 정보 가치가 없다. 그렇지만 ‘오늘은 4시에 피어세션을 시작한다.’는 정보는 꼭 알아야한다는 측면에서 정보량이 많다고 말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사건은 낮은 정보량을 가진다. 100퍼센트 발생이 보장된 사건은 내용에 무관하게 전혀 정보가 없다 덜 자주 발생하는 사건은 더 높은 정보량을 가진다 독립인 사건은 추가적인 정보량을 가진다. 동전을 던져 앞면이 두 번 나오는 사건에 대한 정보량은 동전을 던져 앞면이 한번 나오는 사건보다 정보량이 두배 많다 2. Shannon의 self information 확률변수 M이 어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