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처리시간 하나의 입력이 처리되어 출력이 나올때까지 걸리는 시간 수식인식기의 경우 offline test는 ‘이미지 입력 후 수식 영역 정보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 online test는 ‘이미지 촬영 후 이미지에서 수식 영역 정보가 화면 상에 표현되기까지의 시간’ 무슨 차이지? 무슨 차이인지 생각한다는게 좀 그런가? online tests는 사용자 체감 시간이 중요하다는 뜻인것 같다 시간차이의 경우에도 앱으로 사진을 포팅할때 offline과 online의 시간차이도 분명 있는 것 같다 2. 목표 정확도 해당 기술 모듈의 정량적인 정확도 신용카드 인식의 경우 offline test는 입력된 이미지 내 카드번호와 실제 정답의 distance online test는 사용자가 AI 모델에 인식하였을 때..
1. hardware acceleration 일반적으로 CPU에서 software를 수행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로 연산, 기능을 수행하고 싶을 때 hardware acceleration을 사용함 latency를 줄이고 throughput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 CPU도 일종의 accelerator라고 할 수는 있으나 general processor에 가깝고 hardware accelerator는 보통은 GPU, TPU 등등을 의미함 CPU 자체에서 모든 데이터 계산을 할 수도 있고 GPU같은 곳에 특화된, 병렬처리 했을 때 더 좋은 데이터 같은 경우 GPU에 보내 처리를 하여 CPU로 돌려받는 식으로 데이터 처리를 함 CPU와 hardware accelerator가 정보를 주고 받으며 데이터 처리 2. ..
2. acceleration 시간에 따른 거리의 변화량이 속도이고 속도의 변화량이 가속도(acceleration) 2-1) python list와 numpy array python list는 각각의 element를 개별 object 단위로 저장 numpy array는 비슷한 data type들을 메모리 상 동일한? 비슷한? 위치에 한번에 잡아서 처리함 python list는 element 개별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 numpy array는 동일한 type의 element를 한번에 묶어서 저장 numpy array는 c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python list에 비해 가속(속도가 빠름)되었음 실제로 numpy array가 0.1초 정도 빠름 2-2) python과 C python도 C를 기반으로 만들어..
1. 무어의 법칙 -시간이 지나면서 반도체의 성능은 계속 증가- 1989년 얀 르쿤이 신경망으로 우편번호를 인식하려고 했을 때 고작 10개의 숫자를 인식하기 위해 모델을 학습하는데만 거의 3일이 걸렸다. 당시 신경망 구조는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았고 성능 또한 뛰어났지만 시스템만큼은 지금과는 큰 차이가 있었다. 인텔의 공동 창업자 고든 무어는 1965년 무어의 법칙을 내놓았다. 반도체 집적회로의 성능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것으로 이 법칙은 오랫동안 컴퓨터 발전사에 통용되어온다. 얀 르쿤의 1989년 신경망 첫 실험과 2021년의 시스템 사이에 약 32년간의 시간차이가 있었는데, 단순 무어의 법칙에 의해 65536배의 성능 증가가 있었다. 3일이 걸렸던 학습 과정을 2021년에는 4초만에 끝낼 수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