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2. 12. 17. 03:07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지식 - 딥러닝은 기계번역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1. 신경망 기반, 자연스러운 번역의 시작 2010년대 들어 드디어 딥러닝이 주목받기 시작합니다. 먼저 구문 기반으로 분석하는 방식에 딥러닝을 적용해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조경현 교수가 몬트리올대학교에서 박사 후 과정 중에 성공적인 결과를 넀습니다. 이때부터 바야흐로 딥러닝을 본격적으로 기계번역에 도입합니다. 이후에는 구문 단위를 넘어 아예 문장 전체에 딥러닝을 적용하죠. 이를 신경망 기반 기계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신경망 기반 기계번역은 어떻게 작동할까요? 앞서 단어 기반에서 구문 기반으로 확장하면 보다 자연스러운 문장이 나온다고 얘기한 바 있습니다. 신경망 기반은 한발 더 나아가 문장 전체를 마치 하나의 단어처럼 통째로 번역해서 훨씬 더 자..

2022. 3. 1. 21:49

딥러닝에서 말하는 경량화란?

1. 경량화란? switch transformer model은 거대하기로 유명한 GPT-3 parameter의 9.14배인 1600000000000개(1.6조) text description으로부터 image를 생성하는 DALL-E는 GPT-3 parameter의 0.068배인 12000000000개(120억) 성능을 높이려면 parameter 수를 늘려야한다고는 하지만 너무 심한 수준으로 끝을 모르고 증가하는 요즘 추세 거대기업이 아닌 일반 사람이 이런 모델을 돌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 무겁고 큰 performance가 좋은 모델에서 performance를 약간 손해보더라도 model size를 줄여 원래 모델보다 좋진 못하겠지만 어느정도 쓸 수는 있을 충분히 작은 모델을 만들고자하는 기술 경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