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 알고리즘 기초18 - 반복문 심화2(10의 자리와 1의 자리 구하는 방법 복기)-

1. 조건문 안에 for문 사용 두 개의 정수a, b를 입력받아 큰 수부터 작은 수까지 차례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 a,b를 입력 받은 다음에, a >= b이면, a부터 b까지 for문으로 1을 감소시키면서 출력하고 a > a >> b; if (a >= b){ for(int i = a; i >= b; i--){ cout

2021. 12. 3. 01:37

(빅데이터분석기사) pandas에서 count()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

위에 제시된 데이터프레임의 행의 개수를 구할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434개인건 명백한데 count함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다음은 데이터프레임에 들어간 boston['RM'].unique() array를 len함수를 이용해서 개수를 세어본 결과이다. 그 비밀은 NA값에 있다. 행의 개수를 세야할 때 pd.DataFrame.count()로 데이터프레임의 행의 개수를 셀 수 있는데 count()함수는 NA가 아닌 값만 세는 특징이 있다. 설명을 보면 non-NA값만 개수를 센다고 나와있다. 그래서 NA값을 세야하는지 세면 안되는지에 따라 주의해서 사용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