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표현식 프로그램은 많은 식과 조건이 조합되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의 모음 프로그래밍에서 계산할 때 사용하는 식을 표현식(expression) 계산을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항상 결과를 가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표현식은 여러개의 피연산자와 연산자로 구성 연산자는 연산의 종류를 결정하고 피연산자는 연산에 참여하는 값 또는 식별자이다 표현식: 1 + 2 1,2는 피연산자 +는 연산자 2. 상수 표현식 상수로만 이뤄진 단순한 표현식 상수는 1, 12.345, 'A'같이 변하지 않는 값 3. 단항 연산자 표현식 연산자와 피연산자가 일대일로 매칭되는 표현식 연산에 참여하는 피연산자가 하나인 표현식이다 형변환, 부호변경, 증감 연산자 등이 모두 포함 부호 연산자: +a, -a 증감 연산자: ++a,..
1. 키워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특별한 의미로 미리 정의해 둔 식별자 int, long, short, break, bool, case, catch, else, if, and,.... char, int, float 등 데이터 형식부터 using, return 등 여러 문법들이 키워드 변수, 함수, 클래스 등 식별자를 정의할 때 미리 정의된 키워드와 똑같은 이름으로는 만들 수 없음 1) 키워드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다 2) 식별자는 대소문자, 숫자, 문자로만 구성할 수 있다 3) 식별자는 대소문자, _(밑줄)로만 시작해야한다. 숫자로는 시작할 수 없다 4)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한다. nValue, nvalue, NVALUE... 등등은 모두 다른 것 2. 리터럴 코드에 직접 표현된 변하지 않는 값..
1. 암시적 형변환(implicit cast)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변환 주로 작은 크기의 자료형에서 큰 크기의 형식으로 변환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float float_value = 1.5f; // 원본 데이터는 부동 소수점 형 1.5 double double_value = float_value; // 숫자 승격: 데이터 유실 없음 int int_value = float_value; //숫자 변환: 데이터 유실 발생 cout double는 float와 같은 부동소수점 계열인데 더 큰 자료형이므로, 유실없이 float형을 자동으로 double형으로 바꾼다 이를 숫자 승격이라고 부른다(암시적 형변환) double double_value = floa..
C언어에서 L-value는 왼쪽 값, R-value는 오른쪽 값을 의미하는데, 대표적으로 L-value는 변수, R-value는 상수 대입연산자 = 을 기준으로 왼쪽 항을 L-value, 오른쪽 항을 R-value 표준 C++에서는 L-value는 대입 연산자의 왼쪽에 나타나는 값으로,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거나 수정할 수 있는 표현식 예: 변수 이름, 배열 요소, 클래스 멤버 이름이 있고, 사용되는 식 외에서도 유효함 R-value는 대입 연산자의 오른쪽에 나타나는 값으로, 임시 값이나 메모리상에 위치가 없는 값을 가리키는 표현식 예: 임시 객체, 리터럴 대체로 이름이 없고, 사용되는 식에서만 유효함 a = 1;1 = a; // 오류, 1은 L-value가 될수 없음a = b+1; b+1 = a; //..
변수를 선언했다고 해서, 프로그램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변수가 선언된 위치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결정 예를 들어 어떤 함수에서 value라는 변수를 선언하면 value는 해당 함수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이를 지역 범위(local scope)라고 부른다 같은 지역 범위에서 이름이 같은 변수가 없는 '단일 정의 규칙'만 잘 지킨다면, 다른 범위에서는 같은 이름으로 변수를 선언해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void print() { //함수 내부의 지역 변수 int value = 10; cout C++에는 많은 종류의 범위가 있는데 1) 구문 범위 if, for, while 등 구문 안에서만 유효 2) 지역 범위(블록 범..
1. 데이터 형식 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C++ 언어에서는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전에 정수, 부동 소수점, 문자 등 어떤 값을 저장할지 미리 정해주어야함 이를 데이터 형식(자료형)이라고 한다 파이썬 같은 인터프리터 언어는 변수의 형식을 자동으로 결정해주는데 C++같은 컴파일 언어는 형식을 직접 지정해주어야함 형식이 엄격한 C++같은 언어는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할 때 어떤 형식으로 만들지 항상 고민해야하는데, 파이썬같은 형식이 유연한 언어보다 훨씬 까다롭지만, 런타임 오류도 줄고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형식키워드크기(byte)특징보이드voidnone'형식 없음'불리언bool1true, false문자char18비트 정수형으로 사용될 경우 일반적으로 -128~127u..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