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3. 9. 22. 03:00

분할 정복 중요 테크닉 -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 찾기

1. 문제 1725번: 히스토그램 (acmicpc.net) 1725번: 히스토그램 첫 행에는 N (1 ≤ N ≤ 100,000) 이 주어진다. N은 히스토그램의 가로 칸의 수이다. 다음 N 행에 걸쳐 각 칸의 높이가 왼쪽에서부터 차례대로 주어진다. 각 칸의 높이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 www.acmicpc.net 2. 풀이 히스토그램이 주어질때, 찾을 수 있는 직사각형중 넓이가 가장 큰 직사각형을 찾는 문제 위와 같은 경우 다음과 같은 직사각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히스토그램이 높이 배열 A로 주어질 때, 어떤 구간 [i,j]까지 잡았을 경우, 만들 수 있는 직사각형은 높이가 가장 낮은 min(A)에 구간의 길이 j-i+1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가능한 모든 경우에 대해 min..

2023. 7. 17. 02:57

데이터 해석학5 -오차와 확률분포-

1. 데이터의 변동 파악 측정 결과가 우연오차에 의해 변동이 생긴다고 하지만, 이 변동을 어떻게 다루어야할까? 몸무게의 참값이 50kg인 A가 몸무게를 10번 측정한 경우를 생각해보자. 편향은 무시하고, 우연오차만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자. 이 우연오차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측정을 10000번 반복한다. 결과를 단순히 수직선 위에 그리면 보기 어렵기 때문에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표시 막대의 폭(구간)을 0.02kg으로 설정하고, 그 안에 들어간 데이터의 개수를 높이로 표시한다. 분할된 각 구간을 bin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측정된 값이 50.00~50.02kg의 범위에 포함된 횟수가 771번 처럼 전체를 세세하게 나눠서 세고 있다. 이 히스토그램은 산 모양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측정을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