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장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와 실제로 의미있는 차이

1. 고등학교에 신설된 도서관 어느 도시의 교육청에서 고등학생들의 문해력을 향상하기 위해 몇몇 학교를 선별해 도서관을 새로 지었다. 이 정책의 효과는 얼마나 될까? 몇년 후 도서관을 신설한 고등학교 재학생 100명을 선별해 지난 1년 동안 교과서나 참고서 말고 읽은 책 수를 조사했다. 아이들의 평균 독서량은 무려 34권이었다. 도서관을 신설한 효과가 정말 큰 것인가? 쉽게 단정할 수 없다. 비교를 해야한다. 도서관을 새로 짓지 않은 다른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조사했더니 평균 독서량은 34.4권이었다. 도서관이 신설된 학교 학생들의 독서량이 오히려 적은 것이었다. 이제 정반대의 질문을 할 차례이다. 신설된 도서관이 독서에 방해가 되는가? 이번에도 역시 쉽게 단정할 수 없다. 조사 결과의 우연성을 고려하면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