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암시적 형변환(implicit cast)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변환 주로 작은 크기의 자료형에서 큰 크기의 형식으로 변환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float float_value = 1.5f; // 원본 데이터는 부동 소수점 형 1.5 double double_value = float_value; // 숫자 승격: 데이터 유실 없음 int int_value = float_value; //숫자 변환: 데이터 유실 발생 cout double는 float와 같은 부동소수점 계열인데 더 큰 자료형이므로, 유실없이 float형을 자동으로 double형으로 바꾼다 이를 숫자 승격이라고 부른다(암시적 형변환) double double_value = floa..
1. 컴퓨터, 만능 기계의 모습을 갖추다 기계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한다는 개념은 가장 먼저 컴파일러(compiler)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컴퓨터와 프로그래밍에 대해 조금이라도 배경지식이 있는 분은 컴파일러에 관해 한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을 거에요. 컴파일(compile)이란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바꿔주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면 영어를 한국어로 바꾸는 과정이 컴파일입니다. 컴퓨터에 비유하면 인간이 이해하는 고수준 언어(C++, 자바, 파이썬)를 기계가 이해하는 저수준 언어(기계어)로 바꾸는 과정을 칭하죠. 컴파일러 개념은 컴퓨터 역사에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왜냐하면 컴파일러가 등장하면서, 비로소 컴퓨터는 계산기를 넘어 비즈니스에도 활용할 수 있는 만능 기계의 모습을 갖추었기 때문이죠 2...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