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equence data 사건의 발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데이터 말소리, 문자열, 주가, 비디오, 시계열, 동작(motion) 데이터 독립이고 서로 동등한 분포를 따르지 않는다(iid가 아니다.) 데이터의 순서를 바꾸면 확률분포가 바뀐다. 과거의 정보나 앞뒤의 맥락을 이용하지 않으면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 순서에 관한 정보를 어떻게 반영해야할지 어려워 다루기 어려운 데이터이다. 심지어 입력의 차원이 어디까지 될지를 모른다. 바꿔말하면 sequence data를 다룬 모델은 입력의 차원이 다르더라도 동작할 수 있는 모델이어야한다. 2. 조건부확률을 이용한 모델링 sequence data는 이전에 발생한 정보를 이용하므로 이전 사건이 발생했다는 가정하에 현재 데이터가 발생할 확률을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