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3. 5. 23. 22:49

필승 전략 게임 - 돌 줍기 게임에서 반드시 이기는 방법

1. 돌 줍기 게임 1) A부터 시작하여, A와 B가 번갈아가며 쌓여 있는 돌 무더기에서 돌을 1개 이상 집어온다. 2) 자기 차례가 되어 돌을 집어 올때는, 반드시 상대방이 조금 전에 집어간 돌의 개수의 2배 이하로 집어와야 한다. 예를 들어, A가 2개를 집고 차례를 넘겼다면, B는 1개~4개까지 범위에서 돌을 집어와야한다. 이제 B가 3개를 집고 넘겨준다면, A는 다시 1개~6개 범위에서 마음대로 돌을 집어갈 수 있다. 3) 마지막 돌을 집어간 사람이 게임에서 승리한다. 4) 맨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 돌을 다 집어갈 수는 없다 2. 반드시 이길 수는 없나? A,B가 최선의 전략으로 게임할때, 누가 이기는지 예측할 수 있을까? 1) 돌멩이가 1개 있을때, 게임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맨 처음 시작하..

피보나치 수열 심화과정3 -모든 자연수는 피보나치 수의 합으로 유일하게 분해할 수 있다(제켄도르프의 정리)-

1. 피보나치 수 피보나치 수열 $F_{n}$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F_{n}$을 피보나치 수라고 하자. $F_{0} = 0, F_{1} = F_{2} = 1$, $F_{n} = F_{n-1} + F_{n-2}, n \geq 2$ 두 피보나치 수 $F_{m}$과 $F_{n}$에 대하여 m = n+1 혹은 m = n-1이면 두 피보나치 수가 인접하다고 한다. 즉, $F_{n+1}$과 $F_{n}$은 인접한 피보나치 수이며 $F_{n}$과 $F_{n-1}$은 인접한 피보나치 수이다. 2. 제켄도르프의 정리(Zeckendorf's theorem) "모든 자연수는 인접하지 않은 피보나치 수($F_{0}$, $F_{1}$을 제외한)들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그 표현 방법이 유일하다" 예를 들어 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