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1. 12. 17. 21:41

L1(Lasso)과 L2 regularization(Ridge)에 대한 고찰

1) L1(절댓값 함수)과 L2(제곱 함수) regularization 항을 그래프로 그려보면 weight parameter중 하나가 0으로 가까이 가면 L2 regularization은 나머지 하나도 0으로 가까이 가는 듯 하지만 0은 아닌데 L1 regularization은 확실하게 0으로 가려고 한다 결론은 L1 regularization은 많은 weight를 0으로 만들어낼 수있는데 L2 regularization은 0에 가까운 weight들을 만들어낸다. 2) 이 사실을 다른 그림을 통해 직관적으로 살펴보면 2개의 paramete $W _{1},W _{2}$가 있다고 가정하고 2가지 regularization에 대하여 regularization 항이 최소한 $s$이내에 있어야한다고 하면 $$\l..

L1 regularization(Lasso)과 L2 regularization(Ridge)

L1 regularization과 L2 regularization은 모형의 복잡도인 parameter에 penalty를 주는 방식이다. L1, L2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다시피 loss function 공부하면서 짐작할 수 있는데 L1 regularization은 L1 norm인 절댓값 합을 말하는 것 일 테고 Lasso라고도 부른다. L2 regularization은 제곱 합을 말하는 것이고 Ridge라고도 부른다. 기본적으로 regularization하면 생각나는 것은 $$cost = basic \; loss + regularization$$ regularization term을 구성하는 방법은 neural network의 parameter를 이용한다. 그 parameter가 $W$라고 한다면 $$\..

2021. 12. 15. 00:04

regularization이란 무엇일까?

1. regularization이 무엇일까? 누군가가 regularization이 뭐에요?라고 물어보면 뭐라고 대답해야할까 쉽지 않다.. 당장 대답해보라하면 그냥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loss function에 항을 추가하는 일? 여기서 조금 더 떠들어본다면 모형이 train data를 너무 잘 배워서 loss를 빠르게 줄이는 것을 막고자 penalty로 항을 추가한다. 그러면 loss를 빠르게 줄이는 것을 막아 과적합을 방지하게 된다 위키피디아의 정의를 가져와봤다 regularization is the process of adding information in order to solve an ill-posed problem or to prevent overfitting.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무언..

분위수 변환(quantile transformation)

1. quantile transformation의 이론적인 설명 주어진 데이터 $x _{1},x _{2} ,...,x _{n}$의 분포를 그려보니 다루기 힘들거나 마음에 안들어서 분포를 변환할 필요가 있다고 합시다. 주어진 데이터 $x _{1},x _{2} ,...,x _{n}$의 분포를 나타내는 누적확률분포함수 $F(x)$를 먼저 구해봅시다. 그런데 관측된 값으로는 이것을 구할 수 없으니 경험적 분포함수로 누적확률분포함수를 추정합니다. 주어진 데이터 $x _{i}$에 대하여 $F(X) \approx F(x _{i} )$로 추정했다고 합시다. 분포함수에 관한 theorem 1에서 "$X$의 누적확률분포함수가 $F(x)$라면 확률변수 $Y=F(X)$는 $U(0,1)$을 따른다”라고 했습니다. 이것이 무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