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3. 1. 14. 23:16

리액트 기본 배우기 -state를 공유하는 방법-

1. shared state 말 그대로 공유된 state 자식 컴포넌트들이 가장 가까운 공통된 부모 컴포넌트의 state를 공유해서 사용한다 shared state는 어떤 컴포넌트의 state에 있는 데이터를 여러개의 하위 컴포넌트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가장 위에 있는 컴포넌트는 부모 컴포넌트이고, 아래 화살표로 연결된 2개의 컴포넌트는 자식 컴포넌트 부모 컴포넌트는 value라는 값을 가지고 있다. 왼쪽 아래에 있는 컴포넌트 A는 값에 2를 곱해서 표시하고, 오른쪽 아래의 B는 값에 3을 곱해서 표시한다. 이런 경우에 자식 컴포넌트들이 각각 값을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다. 그냥 부모 컴포넌트의 state의 값에 각각 2와 3을 곱해서 표시하면 그만이다 위 그림도 마찬가지로 3개의 컴포넌트가 있다 ..

2022. 9. 13. 00:40

트리 이론 기본편1 -용어 정리-

1. 트리의 개념 비선형 구조 원소들 간에 1:n 관계를 가지는 자료구조 원소들 간에 계층관계를 가지는 계층형 자료구조 상위 원소에서 하위 원소로 내려가면서 확장되는 트리 모양의 구조 ############### 선형구조와 비선형구조 간단히 ################################# 2. 트리의 정의 1개 이상의 노드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 즉, 노드가 1개만 있어도 트리 최상위 노드를 root라고 부른다 루트 이외의 나머지 노드들은 n개의 부분집합 $T_{1}, T_{2}, T_{3},... , T_{n}$으로 분리 가능하다 그림과 같이 $T_{1}, T_{2}, T_{3},... , T_{n}$도 하나의 트리가 되며, 루트의 부 트리(subtree)가 된다 그러니까 어떤 tree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