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3. 12. 21. 02:40

16장 여론조사가 틀리는 이유

1. 여론조사의 비밀 한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지지율이 39%로 나타났다. 표본 1000명 중 390명이 지지를 밝힌 셈이다. 그런데 이 숫자는 달라질 수 있는 값이다. 우연히 다른 시민이 여론조사 전화를 받았다면, 380명이나 400명이 지지한다고 답했을 수 있다. 이 여론조사에서 알아내려는 값은 진짜 대통령의 지지율이다. 실제로 정확히 알기란 불가능한 진짜 지지율은 모집단(전체 국민의 대통령 지지율)의 값이므로 모수라고 부른다. 여론조사에서 조사된 값이 '어떻게 얼마나 달라질 수 있었을까' 답을 구하려면 이 모수를 알면 정확히 알 수 있다. 모수 값이 정확히 얼마인지는 알 수 없지만, 어떤 값일 것이라고 가정할 수는 있다. 대통령의 진짜 지지율이 45%였다고 가정하자. 오늘을 무한히 다시 살며 여론조사..

2023. 12. 20. 02:56

15장 표본조사의 불확실성

1. 표본선정이 수반하는 불확실성 통계학의 데이터는 전체가 아닌 부분이다. 부분으로부터 결론을 내리기 때문에 언제나 불확실성을 수반한다. 여론조사는 전체 국민 중 일부를 무작위로 선정한다. 오늘 우연히 전화를 받아 여론조사에 응한 국민 1000명은 만약 오늘이 다시 시작되었다면, 전화를 받지 못하거나 전화가 오더라도 다른 일이 있어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통계에서 데이터는 이처럼 무한히 많은 하루하루의 서로 다를 수 있는 값 중 하나일 뿐이다. 우리가 가진 데이터는 우연의 산물이다. 그러니 우연한 값일 뿐인 데이터 그 자체보다 그 안에 숨어 있는 신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계학에서는 전체를 모집단이라고 부른다. 영어로 하면 population, 인구 또는 모든 사람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이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