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키워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특별한 의미로 미리 정의해 둔 식별자 int, long, short, break, bool, case, catch, else, if, and,.... char, int, float 등 데이터 형식부터 using, return 등 여러 문법들이 키워드 변수, 함수, 클래스 등 식별자를 정의할 때 미리 정의된 키워드와 똑같은 이름으로는 만들 수 없음 1) 키워드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다 2) 식별자는 대소문자, 숫자, 문자로만 구성할 수 있다 3) 식별자는 대소문자, _(밑줄)로만 시작해야한다. 숫자로는 시작할 수 없다 4)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한다. nValue, nvalue, NVALUE... 등등은 모두 다른 것 2. 리터럴 코드에 직접 표현된 변하지 않는 값..
1. 사용자 정의 함수(function) def (함수명): (함수내용) return (return값) 프로그램 수행시 def로 정의된 함수는 수행하지는 않고 먼저 메모리에 올려놓고 메인 프로그램을 수행한 뒤에 함수를 호출하면 수행한다 def로 정의한 함수는 먼저 메모리에 올리고 사용자가 호출하면 불러와서 수행 반환값(return)이 있는 함수와 없는 함수에 유의해야 한다 반환값이 없지만 원본을 변화시키는 메소드 등을 인지하고 있어야함 f(x)는 반환값이 없어서 c에 아무런 값이 할당 되지 않아 print(c)하면 None이 출력된다 2. input() input()함수는 사용자로부터 str을 입력받아 str을 return한다 str을 return하지만 이것을 int나 float같이 숫자로 쓰고 싶다면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