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3. 12. 21. 02:40

16장 여론조사가 틀리는 이유

1. 여론조사의 비밀 한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지지율이 39%로 나타났다. 표본 1000명 중 390명이 지지를 밝힌 셈이다. 그런데 이 숫자는 달라질 수 있는 값이다. 우연히 다른 시민이 여론조사 전화를 받았다면, 380명이나 400명이 지지한다고 답했을 수 있다. 이 여론조사에서 알아내려는 값은 진짜 대통령의 지지율이다. 실제로 정확히 알기란 불가능한 진짜 지지율은 모집단(전체 국민의 대통령 지지율)의 값이므로 모수라고 부른다. 여론조사에서 조사된 값이 '어떻게 얼마나 달라질 수 있었을까' 답을 구하려면 이 모수를 알면 정확히 알 수 있다. 모수 값이 정확히 얼마인지는 알 수 없지만, 어떤 값일 것이라고 가정할 수는 있다. 대통령의 진짜 지지율이 45%였다고 가정하자. 오늘을 무한히 다시 살며 여론조사..

2023. 12. 19. 01:36

14장 데이터는 어떻게, 얼마나 달라질 수 있었을까?

1. 5000만명 중 638만 가구에서 애완동물을 키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 의식 조사'에서 전국 638만 가구에서 애완동물을 키운다고 발표했다. 이 조사는 638만 가구 모두에게 답을 들어 알 수 있었을까? 당연히 그렇지 않다. 국민 5000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구한 표본조사이다. 이처럼 전체 인구에 대한 답을 일부 값으로부터 추론하는 방법이 통계학의 주요 관심사이다. 한 나라의 통계 지표나 기업의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통계는 부분으로 전체를 설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인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5000명의 표본이 우리나라 전체 인구를 대표할 수 있을까? 이 표본에 '우연히'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많았다면 그 답을 신뢰할 수 있을까? 2. 표본 조사의 비밀 통계학자는 표본 ..